삼국시대의 철 생산에는 노 축조용 재료, 각종 송풍시설, 그리고 액체 상태의 용액을 담거나 운반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과 도가니 등 다양한 요업제품(窯業製品)의 제작과 활용이 필요했으며, 이들에 대한 분석은 당시 철 제작기술의 면모를 알려준다. 전통제철기술연구단에서는 기원후 6세기 전후에 운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밀양 임천리유적 제련로를 세 차례에 걸쳐 원형대로 복원하고자 시도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대구경 송풍관을 직접 제작, 운용함으로써 당시 송풍관과 송풍시설의 양상을 검토했다. 특히 실험에서는 임천리유적 출토유물의 검토를 바탕으로 송풍관 제작용 태토를 직접 선별해 배합했고, 얇은 기벽 송풍관의 성형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송풍관을 의도적으로 저화도로 소성하여 제련로 조업과정에서의 고온에 대한 송풍관의 적응도를 평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대구경 송풍관의 제작 및 운용을 다룬 실험의 전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들 송풍관 자료에 대한 토기암석학분석(Thin section petrography), 주사전자현미경분석(Scanning electron microscopy), 그리고 X-선 형광분석(WD-XRF: Wavelength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equentail Spectrometer)을 실시하여 송풍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삼국시대 대구경 송풍관 제작의 중요 요소인 원료흙의 선택과 배합, 그리고 성형 및 소성에 관한 고고학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련조업 과정에서는 곡관형 송풍관의 역할에 대해 중 점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paper considers the function of ceramic tuyer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large-scale iron production was carried out in the Korean Peninsula. Ancient iron production normally required a tuyere through which air was induced to the firing chamber to facilitate combustion in the furnace. It was manufactured using clay based materials that were better able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compared to utilitarian pottery.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recent archaeological discussions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e of the large-diameter tuyeres in relation to iron produc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n, the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undertaken by a Korean team (which included the author) are presented, and the way in which tuyeres were manufactured and functioned at that time is discusse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manufacture and usage of the tuyeres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that this case study may provide for ancient Korean iron culture were explored.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 및 연구목적
Ⅲ. 송풍관 제작 및 운용실험
1. 제련로의 축조와 송풍시설의 설치
2. 송풍관의 제작
3. 제련로 조업과 송풍관의 사용
Ⅳ. 자연과학 분석
Ⅴ. 고찰
1. 송풍관의 제작
2. 송풍관의 운용
VI.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