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대 금속상감에 관한 시론

A study of the ancient metal inlay Lim, ji-

  • 63

금속상감은 바탕 금속에 홈을 만들어 홈 속에 바탕 금속과는 다른 금속을 물리적인 힘으로 감입하는 금공장식 기법이다. 본고는 상감홈과 상감선 등 제작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삼국시대와 일본 고분시대 출토 유물을 분류하고 기법상 차이와 유사점 등을 비교함으로써 고대 한일 금속상감의 제작공방과 그 계보를 상정하기 위한 시론이다. 금속상감은 연마라는 최종 제작과정과 부식이라는 금속의 특성으로 인해 육안관찰만으로는 제작 기법의 특징 파악이 곤란하다. 따라서 필자는 마이크로스코프와 X선 장치를 이용하여 상감유물의 기술적 특징을 파악하고 제작실험 비교를 통해 고대 금속상감 기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상감홈의 경우 기존의 금공 연구를 통해 지적되어 왔던 축조와 모조기법의 양자가 존재하는 한편, 이제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상감선의 제작기법에 있어서 단조 이외에 감기나 꼬기, 접기와 같은 다양한 제작기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기법의 사례에서는 시기와 지역차가 확인된다. 상감홈과 상감선 제작기법의 기술적 특징은 유라시아 대륙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백제, 신라, 가야, 그리고 일본열도에 이르는 세선세공 기법의 전파루트와 상응하고 금제 보요의 기원과도 관련된다. 근년 발굴 조사된 러시아 초기철기 시대 상감유물, 그리고 후한대 중국 상감명문대도와 비교하여 각 기법 조합의 시기차와 지역차를 통해 고대한일 상감에 이르는 계보가 모조기법의 홈과 감기나 꼬기기법의 선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루 트>, 그리고 축조기법의 홈과 단조선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루트>의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etal inlaying technique is to putting gold or silver into a carved wire of the based metal with physical power. In this paper, based on the various elements such as quality of metal, inlaid groove and inlaid wire, presume the manufacture of workshop of the metal inlaying and its system by classifying the artifacts of the Three-Kingdom Period of the Korean Peninsula and Kofun Period of Japan and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t is hard to apprehend the feature of its technique with the naked eye because of polishing and corrosion. Therefore, I grasp the technical character by observing them with macroscopy as well as microscope, X-ray and restore the metal inlaying technique with comparing it with production experiment. As a result, in case of inlaid groove, there are lined-carving and triangled-carving that is commonly indicated in bronze artifacts. In case of inlaid wire, there are various technique such as winding, twisting, folding except hammering that is not indicated so far. It has got time and regional differences in example of each techniques. The feature of the technique of inlaid groove and inlaid wire is found in Eurasia. It corresponds to the diffusion route of the filigree technique to Baekje, Silla and Japan. By comparing its route connected with the origin of the golden ornament with the inlaid artifacts of Russian Early Iron Age and Chinese inlaid inscription sword in West Han Dynasty, abstract time and regional differences of the combination of the technique. Based on this, I propose a hypothesi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routes to the ancient Korea and Japan, one in the Northern-route; groove of the lined-carving and winded or twisted wire, the other in Chinese route; groove of triangled-carving and hammering wire.

Ⅰ. 머리말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유물에 남겨진 제작흔

Ⅳ. 실험제작을 통한 제작흔 비교

Ⅴ .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