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탕구의 위치로 본 요령식동검의 제작기술과 의미

Making Technique and Meaning of Liaoning-Type Bronze Dagger fromthe Analysis of an Inlet

  • 97

요령식동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제작기술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 글에서는 제작기술과 관련하여 동검 표면에서 확인되는 기포의 양상과 X-ray 촬영을 통해 확인된 기포의 방향을 통해 주입구의 방향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주입구가 슴베 쪽인 A식과 봉부 쪽인 B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식은 동검 제작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요령식동검 뿐 아니라, 세계 전역의 동검 제작에서 확인된다. 이에 비해 B식은 상대적으로 좁은 봉부를 통과하여 용탕이 주입되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잘 이용되지 않는 기술로 생각된다. 양익에 화살촉을 만들 때 이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역자형의 양익부분이 완벽하게 주조되게 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 B식의 동검은 청도 예전동, 여수 월내동, 여수 봉계리 월앙, 부여 수목리 등 한반도 남부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분포 범위로 본다면 제작지는 한반도 남부일 것으로 생각되며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이 제작지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B식의 제작기술은 일본으로 전해지는데, 현재까지의 자료로 본다면 광형동과와 긴기식동과[近畿式銅戈] 등에서 확인된다. 특히 사쿠라가오카[櫻ケ岡] 유적 출토의 近畿式銅戈에는 새발자국 무늬가 있는데 이러한 표식이 한반도 남부의 장수 남양리 3호묘, 부여 입포리 출토 한국식동 검에서도 확인되는 바, 한반도 남부의 청동기 제작기술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요령식동검은 A식과 B식의 제작기술 집단으로 구분되며 현재까지의 분포상황을 볼 때, B식은 한반도 남부에서 제작된 것이며, 적어도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한반도 남부에 청동기를 제작·분 배·조절·소유하는 집단과 지배자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집단은 사서에 기록된 고조선 혹은 辰(衆)국의 모태와 연결될 것이라 생각된다.

Despite the numerous studies that have hitherto carried out with respect to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bronze daggers have been relatively rare. In this regard, a review on the sprue directions during the course of manufacturing bronze daggers has been carried out with regard to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s a result, the existence of two sprue type was confirmed: Type A faces the directions of the handle ends of daggers, whereas type B faces the directions of the blades. Type A sprue has been most commonly used for manufacturing bronze daggers, and its applications can be found in the bronze daggers that had been manufactured across the globe. In contrast, the applications of type B sprue have relatively been rare due to the high risk of a bottlenack at the time of injecting molten metal through a point of narrow blades. To date, type B bronze dagger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south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r, such as Yejeondong in Cheongdo, Wolneadong in Yeosu, Sumokri in Buyeo, etc. Given the distribution range that has been confirmed so far, the center of suck daggers are thought to be locat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or likely to be located in one of the following areas: Jeokryangdong and Wolnaedong in Yeosu. In conclusion, it can be assumed that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can be classified into type A and B manufacturing technology groups. The current distribution status confirmed that type B bronze daggers were produc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the existence of rulers and groups who manufactured, distributed, controlled and possessed bronze tools in the Korean Peninsula at least in the late Bronze Age. And type B manufacturing technology passed down Yayoi culture in Japan.

Ⅰ. 머리말

Ⅱ. 요령식동검의 한반도 내 제작과 관련된 연구사

Ⅲ. 동검과 거푸집의 관찰

Ⅳ. 탕구의 방향으로 본 청동기 제작기술의 계보

Ⅴ.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