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鳥形裝 鐵板儀器考

Remarks on Iron-plate Ritual Utensil with Bird Decorations

  • 29

함안 도항리와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특이한 형태의 유물인 이형 유자이 기에 대하여, 이 자료의 형태와 기능을 볼 때 유자이기의 범주에 넣어서 파악하기 보다는 조형장 철판의기라는 새로운 유물명칭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점은 도항리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에는 예외 없이 자와 같은 것이 전혀 없고 몸체 주변에 조형의 장식물만 부착되고 있는 것에서 새로운 명칭의 부여는 타당성이 있을 것이다. 또한 언뜻 보기에 도항리와 옥전고분군 출토 의기는 유사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상당한 차이가 확인된다. 즉 몸체는 철정형이고 투창이 거의 만들어지지 않으며, 양변에 돌기상의 자가 형성되지 않는 대신 조형의 장식물이 예외 없이 부착되고 있는 것을 「도항리형」, 몸체의 양변에 돌기상의 자가 만들어지며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투창이 뚫리고 조형의 장식물이 부착될 경우 새의 꼬리가 아래로 처진 것을「옥전형」의기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도항리형은 철정, 옥전형은 덩이쇠와 같은 철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이 유물의 원류는 김해지역의 이형유자이기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자료가 A.D 400년 고구려 광대 토대왕의 남정으로 초래된 김해지역의 동요에 의해 김해세력이 서부경남 일대에 유입됨으로서 비롯되 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유물의 기능은 도항리형의 경우 형태가 정형화되어 있으면서 복수부장의 예가 많은 것에서 안라국의 지배집단을 비롯한 안라국 전체를 대표하는 집단의 상징물이었음에 비해 다종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면서 1유구에 1점씩만 부장되고 있는 옥전형은 이 의기를 소유한 피장자 개인의 신분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끝으로 양 고분군을 벗어나서 발견되고 있는 몇몇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의령 예둔리 1호분 출토품은 도항리형, 저포리E 2, 3, 4-1, 5-1, 9호분 출토품은 옥전형, 그리고 멀리 떨어진 순천 운평리 M2호분의 석실과 봉토 내에서 발견된 것은 옥전형 의기임을 밝혔다.

The uniquely shaped artifacts, heteromorphic sharp-tool with barbs, that are being discovered and concentrated in Haman-Dohangli ancient tomb cluster and Hapchon-Okjeon ancient tomb cluster seem to be better classified as Iron-plate Ritual Utensil with Bird Decorations rather than being classified as Sharp Tool with Barbs, considering their shapes and functions. Entitlement of a new name look reasonable because the artifacts, excavated in Dohangli ancient tomb cluster, have no barbs, without any exceptions, and have only birdshaped decorative attachments around the body. The ritual utensils, excavated from Dohangli ancient tomb cluster and Okjeon ancient tomb cluster, at a glance, look similar, but a careful examination confirms significant differences.In other words, those artifacts, made out of iron ingots, with no decorative holes, having birdshaped decorative attachments with no exceptions, without bump-shaped barbs on either side, are classified as Dohangli Type, and those artifacts, with bump-shaped barbs, having decorative holes in a variety of shapes inside, with bird-shaped decorative attachments with drooping bird tails, are classified as Okjeon Type ritual utensils. Additionally, the Dohangli Type was made out of iron ingots and the Okjeon Type out of iron nuggets, utilizing iron material in both typ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se artifacts originated from the heteromorphic sharp-tool with barbs in Kimhae reg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clans in KimHae brought the information with them when they moved into the Western Kyungnam area, during the unstable period resulting from the southern conquest by the Great King GwangGaeTo in A.D. 400. Inferring from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Dohangli type, the shape is standardized and that many examples of multiple burial accessories can be seen, the function of these artifacts is believed to be a symbol of the group representing the Anra dynasty in its entirety, including the ruling parties of the Anra dynasty. In comparison, the Okjeon type, with a single article in each tomb, is presumed to symbolize the status of the buried individual in possession of this ritual utensil. Lastly, reviews of the few samples, excavated in areas other than the two tomb clusters, revealed that the articles excavated from the Tomb Yedunli 1 are of Dohangli type, and that the articles excavated from the tombs Jeopoli E2, E3, E4-1, E5-1 and E9 are of Okjeon type, and that the articles found in the stone chamber and the tomb mound of M2, located in the distant Soonchun- Woonpyungli, are of Okjeon type.

Ⅰ. 머리말

Ⅱ. 儀器에 대한 檢討

1. 咸安 道項里古墳群

2. 陜川 玉田古墳群

Ⅲ. 儀器의 源流와 機能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