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호텔 종사원의 BIG 5 성격유형이 직무적합성, 스트레스, 감정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소재 5성급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model on job fit,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five-star hotel employees in Seoul, Korea

  • 18
147046.jpg

본 논문 에서는 호텔 종사원의 Big5 성격유형이 직무적합성, 스트레스, 감정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Big5 성격유형 중 성실성(+), 외향성(-), 신경증(-)은 직무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고 있었다. 둘째, 직무적합성은 스트레스와 감정소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와 감정소진은 각각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서울 소재 특급 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고, 이중 242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내용 분석을 위해 SPSS패키지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분석을 위 하여 AMOS프로그램의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 다음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호텔산업 조직의 효율성 및 성과 향상에 여러 가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소재 특급호텔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무리가 있겠으며, 직원들의 대부분이 조리부와 F&B에 편중되었다는 점도 한계점으로 꼽을 수 있겠다. 향후에는 근무부서, 고용형태, 직급, 근무기간 등 의 차이에 따른 후속 연구를 해볼 필요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job fit,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five-star hotel employees in Seoul, Korea, using the Big Five personality model. As a result, first,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types of hotel employe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fit. Second, job 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and burnout. Finally, job stress and burnou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0 five-star hotel employees in Seoul, Korea, and 242 survey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understanding of the service manpower in the hotel industry is a very important element directly relate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busines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hote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