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058.jpg
KCI등재 학술저널

새로운 참여적 과정에 대한 도전, 그리고 갈등과 위기관리 - 서울 시민 헌장 사례를 중심으로 -

Conflict and Crisis Management in Challenges to New Participatory Process - Focusing on the Seoul Citizens’ Human Rights Charter -

DOI : 10.14251/crisisonomy.2019.15.2.37
  • 56

본 연구는 서울시민 인권 헌장을 제정하는 참여적 의사결정 과정 도입에서의 갈등과 위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정부 의사결정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분 간의 상호작용과 파트너십을 강조한다. 시민은 참여를 통해서 시민사회의 자율성과, 시민의 권리를 향상시키게 된다. 참여적 과정 에서의 갈등과 위기와 관련해서,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보여준다. 첫째, 갈등과 위기는 그자체로서 민주적 결정과정이다. 민주적 결정은 다양한 집단 간의 사회적 갈등을 관리하는 민주적 과정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둘째, 시민 헌장 제정에 필요한 시민들의 정서적 합의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며 정부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셋째, 민주적 절차의 위기에 있어서 제도와 갈등 관리뿐만 아니라 충분한 시간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lict and crisis in a participatory process of making the Seoul Citizens’ Human Rights Charter. A new form of governmental decision-making process emphasizes interaction and partnership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Citizens acquire autonomy in civil society and enhance civil rights through participatory governance. Regarding conflict and crisis in a participatory process, this study shows three things as follow. First, conflict and crisis are considered as a democratic process which manages social conflicts among various groups. Second, the emotional consensus among citizens for the enactment of the Charter needs sufficient time and governmental efforts. Third, as for the crisis of democratic procedures, not only institutional conflict management but also sufficient time is of great importance.

Ⅰ. Introduction

Ⅱ. Theory

Ⅲ. Literature Review

Ⅳ. Case Study Background and Context

Ⅴ. Challenges to Participatory Democracy:

Conflict, Crisis

Ⅵ. Who are blamed?

Ⅶ. Conclusion: Various Implic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