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와 정신분석 이론가 프란츠 파농의 지적 기획과 사회적 궤적을 재조명한다. 두 지식인은 모두 전쟁에 휘말린 식민지 알제리에서 체류하며 자신의 문제의식과 학문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경험을 공유한다. 이들은 정신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 분리 불가능하고 개인의 정체성이 식민주의와 같은 사회적 상황의 산물이라는 데 인식 을 같이 했다. 그들은 또 식민주의와 그 효과에 대해 매우 유사한 진단을 제출하면서, 인간심리와 사회구조의 복잡한 관계를 규명하는 총체적인 인간학을 지향했다. 이러한 인간학은 소외되고 고통 받는 개인을 해방하고 치유하며, 나아가 그러한 장애를 유발한 사회구조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하지만 여러 중요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파농과 부르디외가 특히 식민지 해방 문제에 대해 적지 않은 입장 차를 드러낸 것 또한 사실이다. 파농은 일찌감치 학자보다는 투쟁가로서의 삶을 선택하고, 농민과 룸펜 프롤레타리아에 기반을 둔 제3세계 혁명을 강조했다. 반면 사회학적 현실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부르디외는 파농이 혁명의 열정과 유토피아주의에 사로잡힌 나머지 정치적으로 악영향을 끼쳤다고 비판했다. 부르디외와 파농의 사유를 지성사적으로 맥락화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면서 이 글은 지식인의 정치적 참여라는 오래된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interpret intellectual projects and social trajectories of French sociologist Pierre Bourdieu and psychoanalyst Frantz Fanon. Both intellectuals share the experience of constructing their intellectual problematics staying in a war-torn colonial Algeria. They recognized that the mental and the social are inseparable, and that an individual’s identity is a by-product of social conditions like colonialism. In consequence, their accounts of colonialism and its effects turns to be very similar. Both of them also pursued a kind of ‘total anthropology’ that identifi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uman psychology and social structure in the colonial context. In their view, this anthropology should help to liberate the alienated and dominated individuals, seeking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In spite of some important commonalities, Bourdieu and Fanon revealed a number of differences in various issues, especially political ones related to colonial liberation. While Fan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Third World Revolution based on peasants and lumpen proletarians, Bourdieu criticized Fanon’s position as a dangerous political utopianism which was scientifically unfounded. Reconsidering the thoughts of Bourdieu and Fanon in their Algerian context, this article newly explores the old problem of political engagement of the intellectual.
1. 들어가며
2. ‘알제리 문제’의 맥락
3. 알제리전쟁에 휩쓸린 두 지식인
4. 파농, 식민주의를 진단하고 혁명에 투신하다
5. 부르디외, 사회학적 현실주의의 정치적 힘을 믿다
6. 파농과 부르디외, 파농 대 부르디외
7.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