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deal and visu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and tree density in edge of forest trail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on the ide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was conducted by using just questions without any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s, pictures. And the surve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tree density in edge of forest trail was conducted by using images modeled by SketchUp 3D modeling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survey on the ideal preference of forest trail landscape, curved forest trail was preferred over straight forest trail. And thick, snug and narrow trail was preferred over thick, bright and wide trail. Preferred unpaved trail and trail with the natural edge rather than cleaned edge or planted flowers. Also, trail edges with mixed stand was preferred over with conifers or hardwoods. In the case of visual preference for tree distance(m) by DBH(cm, D) of simulated Pinus koraiensis stands, 3m(range of 2~5m) at D<25, 4m(range of 3~6m) at 25≤D<40 and 5m(range of 4~7m) at 40≤D were preferre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8)
- LED 펄스광의 듀티비가 상추의 생장과 광합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
- 친환경 농업 생산 체계 지원용 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 페퍼민트 정유제품 30종류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 기능성 식물용기 디자인 선호도 평가
- A Study on Facilitating Factors of User Convenience of Urban Parks
- 국내 정원용 다년생 초화류의 생육 특성별 화색, 초장, 개화기 분류
-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Bio Green Wall System’의 효과
- 토경재배 토마토의 묘령에 따른 생육, 광합성 및 항산화 활성 특성
- 정원활동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서남해안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정원용 장미 선발
- 재배활동중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남자 청소년 수형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무와 배추의 친환경 재배를 위한 미생물 제제의 시용
- 관상용 수경재배에서 활성탄 비율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생육반응
- 설문조사에 의한 숲길 경관과 임목밀도 선호도
- 원예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ㆍ정서 발달과 자기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육프로그램이 도시농업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 Physiological Response of Indoor Plants according to Formaldehyde Concentrations
- 거주 및 가족 환경에 따른 초등학생의 농업에 대한 이해도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