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41.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석기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Bronze Age Stone Tool Assemblages between the Northeastern China and Korean Peninsula

  • 279

먼저 남한지역 미사리유형의 석기와 북한지역 청동기시대 초기 자료를 비교하면, 가장 이른 단계의 석검 부재, 단면 편평형과 오목형 삼각만입촉의 공반, 장방형․어형․즐형․제형 양인 석도의 공존, 단면 편평형 중심의 양인 석부, 무공석도, 동북형석도, 부리형석기 등을 볼 때 압록강 및 두만강유역 석기와의 공통점이 관찰된다. 이 중 석검의 부재는 압록강유역, 동북형석도와 부리형석기의 출토는 두만강유역의 특징이다. 이와 달리 양인 석도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유역에 주로 분포하며, 무공석도 역시 해당 지역의 특징적 형식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 압록강 상류~두만강유역을 미사리유형과 관련된 지역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을 중국 동북의 지역별 석기상과 비교하면, 遼東山地와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검의 부재, 단면 편평형과 오목형 삼각촉의 공반, 장방형 양인 석도의 존재, 단면 편평형 양인 석부의 높은 점유율, 편평편인석부와 석착, 무공석도, 환석 등이 모두 미사리유형과 공통하는 석기 양상들이다.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이 중 몇몇 요소들이 관찰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유사한 것은 역시 遼東山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석기상으로 보는 한 남한지역의 미사리유형은 遼東山地 馬城子 문화로부터 기원하여 압록강 상류~두만강유역을 거쳐 남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ronze Age stone tool assemblages of Misari-typ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ith those of the Aprok river and the Tumen river reveals some commonalities including absence of the earliest stone dagger, coupled presence of flat crosssectioned and concave triangler shaped arrowheads, co-presence of rectangular, convex, lenticular and trapezoid shaped double blade knives, a double blade stone axe with a flat cross-section, an unperforated stone knife, a northeastern type stone knife, and a peak shaped stone tool. Absence of stone dagger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Aprok river region’s stone assemblage, but a northeastern type stone knife and a peak shaped stone tool are that of the Tumen river region’s stone assemblage. A double blade knife is dominantly present in the upper reach of the Aprok river and the Tumen river regions. An unperforated stone knife is typical of these regions’ stone assemblage. Thus more specifically, the upper reach of the Aprok river and the Tumen river region can be said to be related to the Misari type stone tool assemblage. A comparison on stone tool assemblages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ern China indicates that the Misari type is quite similar with the Liaodong mountain region. The common features of them include absence of a dagger, coupled presence of a flat cross-sectioned and concave triangler shaped arrowheads, presence of a rectangular shaped double blade knife, the higher frequency of double blade axe with a flat cross-section, a single blade axe with a flat cross-section, a stone chisel, a round stone. Although some components are present in other regions’ stone assemblages,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Misari type is the highest in the Liaodong mountain region’s stone tool assemblage. Thus the Misari type in South Korea was likely originated from the Liaodong mountain region Machengzi Culture and had spread southward through the upper reach of the Aprok river and the Tumen river regions in terms of stone tool assemblage.

Ⅰ. 머리말

Ⅱ. 중국 동북지역의 석기

Ⅲ. 한반도의 비교 자료

Ⅳ. 양 지역 석기 비교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