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정부 자원봉사센터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Local Government Volunteer Cent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진학(Jinhak Kim)
- 한국자원봉사학회
- 자원봉사연구
- 자원봉사연구 1권 1호(창간호)
- 2012.08
- 59 - 89 (3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자원봉사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자원봉사센터 조직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조직문화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자원봉사센터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공공 비영리기관의 연구에 적극 이용되고 있는 Cameron and Quinn(1999)의 경쟁가치모형에 의거, 조직문화(혁신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를 독립변수로 하여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사업성과)을 종속변수로 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개인적특성, 운영특성(운영형태, 인력규모, 예산운용, 운영기간), 조직만족도를 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전국 기초자치단체 자원봉사센터 232개소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217개 센터 521명이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방법은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봉사센터의 운영형태에서는 완전직영형태가 조직효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조직문화에서는 위계지향문화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센터라는 공공의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자원봉사센터 간의 운영 차이를 줄이고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volunteer center is very important viewpoint, for activation of Volunteer Centers organization operating to draw ways for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o draw implications and analyze the impact Volunteer Center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Cameron and Quinn(1999) s competing, values Framework that is actively being used Model to study of Public non-profit organizations and organiational culture(adhocracy Culture, market Culture, clan Culture, hierarchy Cultur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trol variable is Personal characteristics, operating characheristics(Type of operation, Size of workforce, operating budget, operating perio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National local government volunteer Center, 232 place whole is research subject. and 217 place, 521 person was responded. verification way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 of this study, Type of operation of Volunteer Center s complete direct form was lowest i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hierarchy Culture was the lowes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influenced by Volunteer Center s organizational culture that operates with a special public purpose and from now on, it will be used to base data for policy that reducing volunteer center s operating gap and contribute to activa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