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1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선서사의 뉴미디어적 재생산

Reproduction of Taoist Hermit Narrative in the New Media Era - Centering on the Gyeryong Seonnyeojeon

  • 208

본 논문에서는 웹툰과 텔레비전 드라마인 ‘계룡선녀전’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신선 서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계룡선녀전’은 인간세상에 내려온 선녀와 인간남성의 사랑이야기로 웹툰으로 2018년에 연재완료 되었고 뒤이어 2018년 하반기에 공중파 방송의 드라마로 방영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룡선녀전’의 서사적 구조를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의 《열선전》 및 당나라 전기 가운데 人神戀愛 유형의 작품과 비교분석하여 중국전통서사가 뉴 미디어 시대의 서사인 웹툰, 드라마로 재생산된 형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한국전통서사가 ‘계룡선녀전’의 내용 구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 중 전통서사와 뉴미디어 서사 사이의 가장 변별되는 점인 신선서사의 소비자에 대해서 집중하였다. 즉 전통서사의 소비자가 남성임에 비해 뉴미디어 시대의 소비자는 여성, 혹은 여성주체적 취향임에 주목하였고 이러한 원인은 뉴미디어 시대 신선서사의 구조와 내용, 결론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In this paper, we discussed reproduction of Taoist hermit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focusing on webtoons and television drama Gyeryong Sunnyeojeon.. Gyeryong Sunnyeojeon is a story of love between a Taosit fairy who has come down to the human world and a man in the human world. It was completed in 2018 in the form of a webtoon. and was broadcast in the second half of 2018 as a drama on airwaves. In this paper,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e of Gyeryong Sunnyeojeon with Liexianzhuan(列仙傳) in Weijin(魏晉) era and the works of the human and god’s love(人神戀愛) type of Tang Chuan-qi(唐傳奇). Consequently, searched for the re-produced form of Chinese classical narrative in webtoons and dramas as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Also, studied how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was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of Gyeryong Sunnyeojeon . Futhermore, in this paper, focused on consumers of Taoist hermit narrative.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consumers of Chinese-Korean classical narrative was male, in comparison to that, the consumers of new-media narrative was female or have a tendecy of female identity. Therefore,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is fact affect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aoist hermit narrative in the new-media era.

1. 뉴미디어 시대의 신선서사 ‘계룡선녀전’

2. ‘계룡선녀전’에 투영된 중국전통서사

2.1 약초를 다루는 신선과 바리스타 선녀

2.2 당나라 傳奇의 人神戀愛 유형과 ‘계룡선녀전’

2.3 신선의 乘物과 선녀의 복숭아

3. 한국전통서사와 ‘계룡선녀전’의 콘텐츠

3.1 계룡산과 선계의 공간

3.2 ‘선녀와 나무꾼’ 설화와 ‘계룡선녀전’

4. 뉴미디어 시대 신선서사의 변화

4.1 할머니 선녀와 젊은 남성의 사랑

4.2 동성애 코드의 삽입 가능성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