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p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9권 8호
-
2019.04891 - 920 (30 pages)
-
DOI : 10.22251/jlcci.2019.19.8.891
- 591

학교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을 구조화하고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전통적 교수·학습에 비해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2018년 5월 셋째 주부터 6월 셋째 주까지 서울시 소재 여자중학교 2학년 1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Co-op Jigsaw 협동학습 모형과 전통적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Co-op Jigsaw 협동학습을 한 실험집단의 메타인지 및 하위 변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 변인 수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그 효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자기 주도 학습의 기저 능력인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교수· 학습 방법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op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student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in ‘Biotechnology’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MSLQ was used to evaluate degree of ‘metacognition’. A tool proposed by Ah-young Kim and In-young Park (2001) was used to evaluate degree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perform the experiment by employing one hundred of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50 subjects) and control group (50 subjects), and each group took a class consisted of 8 sessions based on the Co-op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ode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the score of ‘Co-op Jigsaw’ group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metacognition and its all sub variables statistically.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the score of ‘Co-op Jigsaw’ group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its all sub variables statistic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metacogn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two variabl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the technology education can promote abilities of metacognition of strategic thinking, as well as academic self-efficacy via leading positive progress for stud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