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264.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시대 포은(圃隱) 정몽주 치제의례(致祭儀禮)

  • 106

이 글은 고려 충신 포은 정몽주가 조선왕조의 치제 대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즉, 포은이 조선의 신하가 되어가는 과정을 추증과 시호, 문묘 배향, 서원 및 향교 배향, 사원 제의, 묘제 등의 과정을 통해 모색하였다. 포은이 조선의 신하로 되기까지는 일련의 과정을 겪었고, 이에 따라 조선왕조 치제의 대상자가 되었다. 1401년(태종1) 고려 문하시중 정몽주를 조선의 영의정(領議政)으로 증직하고, 시호를 문충공(文忠公)이라 하였다. 1431년 (세종13)에는 충신의 범주에 포함되어 충신도(忠臣圖)에 화상과 칭송하는 글을 넣었다. 1517년 중종 때에는 문묘(文廟)에 종사(從祀)되고, 16세기 이후 임고서원(臨皐書院), 숭양서원(崧陽書院), 충렬서원(忠烈書院), 오천서원 (烏川書院) 등 13개의 서원에 배향되었다. 아울러 포은 묘에 대한 정비와 치제, 사당 등이 건립되었다. 이에 포은 배향 및 제사를 거행하기 위해 포은 후손에 대한 관직 부여가 뒤따르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행위는 포은의 성역 화를 통해 정치권력의 안정화를 도모한 것이다. 결국, 조선시대 임금들은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를 위해 포은의 상징인 ‘충’과 ‘유교’의 덕목을 강조한 것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포은을 충절의 표상이자 인물로 부각시키었으며, 이런 경향은 일제 강점기, 197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This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of Jeong Mong-ju, the loyalist of Goryeo, being deployed as a ritual object for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Jeong Mong-ju sought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of reasoning. Jeong Mong-ju went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before becoming a member of Joseon’s court, and thus became a subject of the Joseon Dynasty s ancestral rites. In 1401, Jeong Mong-ju was promoted to the prime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and his name was Munchungong. In 1431, he wrote a letter praising and burning images in a picture of faithfulness. In 1517, King Jungjong was engaged in a Confucian shrine, and since the 16th century, he was moved to 13 Seowon(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cluding Imgo Seowon, Sungyang Seowon, Chungryeolseowon, and Ohcheon Seowon. In addition, the tomb of Jeong Mong-ju was renovated, ancestral rites and shrine was constructed. This led to the granting of government posts to descendants of Jeong Mong-ju to perform ancestral rites and memorial services. After all, the act sought to stabilize political power through the sexualization of Jeong Mong-ju. After all, Joseon kings emphasized the virtues of Jeong Mong-ju s symbols, “Loyalty” and “Confucianism” in order to stabilize politics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The political use of Jeong Mong-ju has also been carried out in modern times. A statue of him was erected near Yanghwa Bridge in Mapo-gu, Seoul,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in the 1970s, he was described in Korean language and history textbooks as a symbol of loyalty and filial piety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1. 머리말

2. 신하에 대한 치제

1) 고려시대 치제

2) 조선시대 치제

3. 포은 정몽주( )와 치제

1) 배경

2) 제문

3) 문묘 배향

4) 서원과 사당

5) 묘역에서의 치제

6) 사우(영당)

7) 후손 관직 제수 및 후사( )

4. 맺음말 * 붙임 : 포은 치제 관련 기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