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 고고학 자료의 인식”에 대한 반론
A Critical Review to “About the Archaeological Record of the South Korean Proto-Historic Period”
- 최성락(Choi, Sung-rak) 강귀형(Kang, Gui-hyung)
- 중부고고학회
- 고고학
- 18-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4
- 67 - 81 (15 pages)
이성주가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 토기 양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려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하지만 호남지역에 한정하여 살펴보면 문제가 없지 않다. 그가 호남지역 원삼 국시대 취락이 극히 적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타날문토기의 연대를 낮추는 것은 그 시기의 공백을 더욱 조장하는 것으로 전혀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편년의 체계를 바꾸기 위해서는 이를 방증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의 제시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문화양상을 설명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또 영남지역의 토기양상에 대한 그의 인식을 다른 지역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음은 분명하다. 문화의 변천은 문화권마다 다를 수 있다. 하나의 틀(모델)로 한반도 중남부지역의 전체 양상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호남지역에서 토기 제작기술의 변천을 살펴보면 결코 영남지역과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 결국 타날문토기의 연대를 더 낮추어야 한다는 이성주의 견해는 적어도 호남지역 토기양상을 이해 하는데 적절한 주장으로 보이지 않는다.
It is meaningful that Lee Sung-joo understands the pottery pattern of the early Iron Age and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whol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f we limit it to Honam province. Despite his perception that the settlement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Honam are extremely scarce, lowering the date of the beating patterned pottery is not helping to solve the problem at all by further promoting the gap at this time. In order to change the system of the chronology, it is necessary to present objective data to prove it, and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better culture based on this. It is also clear that his perception of the pottery pattern in Yeongnam province can not be applied to other regions. The changes in culture would be vary from culture to culture.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 whole aspect of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a single framework (model). Especially, if you look at the change of pottery production technology in Honam province, it can not be regarded as the same as Yeongnam province. In the end, Lee Seong-joo s view that the date of the beating patterned pottery should be further lowered is not at least an appropriate recognition to understand the pottery pattern in Honam province.
Ⅰ. 머리말
Ⅱ. 고고학 자료의 인식 문제
Ⅲ. 호남지역 토기양상의 이해 문제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