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어 수업을 위한 TV 자막 활용 방안 연구 -예능 자막의 중국어 오역을 중심으로-

Korean Teaching Method Using Correction of TV Subtitle: Focus on Chinese Errors

  • 1,983
147307.jpg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은 한국어교육뿐만 아니라 문화 교육 측면에서도 높은 효용 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TV 자막 오류 교정을 이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을 설계하고 소개하였다. 논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수업 설계의 이론적 배경을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루었다. 첫째 학습 번역의 효용성, 둘째, 외국어 학습 에서의 오류 판정 문제, 셋째 예능 프로그램의 영상 자막 번역의 교육적 가치가 그것 이다. 3장에서는 ‘준비-구체화-실행’ 단계를 기본 틀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실행도를 소개하였다. 본 설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계획의 실행 단계 에서는 수업 2회차 과제 1회의 형식을 보이고 실제 사용된 예능 프로그램 자막 오류의 예를 보였다. 본 수업은 일정 수준 이상의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외국인 유학생 들에게, 그들의 언어 실력 및 문화 이해 수준을 한 차원 높게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이자 학습 번역의 한 유형으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실제 교실 현장 에서 각 상황에 맞춰 부분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한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 학습 방안 다양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using errors in transla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For this, in Chapter II, we discussed video captions and educational translation. First video subtitles have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this has already been proven in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Next, we talked about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translation. Translation is a great help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is lesson will make the foreign student s Korean language level high. In Chapter Ⅲ, we present a class model. It consists of two classes and one assignment. It is the format in which the instructor lead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First students learn two. Firs they know the difficulty of distinctions between misinterpretation and paraphrase. Second, they can understand the types of errors on factual information, character description, evaluation of actors, speaking for actors, and status commentary. And then they watch the selected clips with subtitles, and find the wrong translation and fixe it. In this process, they can understand and explain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native language and know Korean language cul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막 번역 교정 수업 모형

Ⅳ.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