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496.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정된 IPA 기법을 활용한 외식업체 종사원이 인식하는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upport Systems for Work and Life Balance Perceived by Workers in Foodservice Industry Using Revised IPA Method

DOI : 10.26433/TFCK.2019.14.1.01
  • 279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IPA 기법을 통해 한국 외식산업 종사원의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외식업체에서 종사하는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20부의 설문지 중 416부가 회수되었으며, 중요도와 만족도 측정항목 중 무응답이 있는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7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근무제, 가족친화 문화조성 제도, 부양가족 지원제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제, 직장 보육시설설치 및 지원, 자녀교육 지원제도, 경력관리 및 상담 지원, 퇴직관리 및 상담 지원, 연수 휴직, 법정 유급휴가 제도, 문화 및 여가 지원제도, 안식년 또는 장기근속 휴가, 질병휴직과 같은 14개 지원제도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2사분면에 위치한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는 성별 또는 기업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외식산업 종사원을 위한 일과 삶 균형 지원 제도는 수요자의 요구와 외식기업의 환경과 특성에 기초하여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upport systems on work and life balance perceived by workers in foodservice industry using revised IPA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urveyed the regular employees of foodservice industries in Seoul. With 416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420, 407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nine cases with no response among the item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4 support systems, the discretionary work system; the family friendly culture creation system; the dependent care support;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for child care period; the paid paternity leave;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the workplace child care facility; the child education support system; the career management support; the retirem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the training leave; the vacation with pay; the culture and leisure support system; the sabbatical breaks; and the sick leave, were analyzed to need intensive investment for the work and life balance. Second, the work and life balance support system in the second quadrant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gender or firm size. Therefore, the work and life balance support system for the foodservice industry workers should be planned based on the needs of the consumers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companies.

I.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