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498.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취업 취약계층 여군을 위한 취업역량 및 교육요구 분석

A Study on Women Soldiers Vulnerable to Job Competencies and Re-employment Training Needs Analysis

DOI : 10.14251/crisisonomy.2019.15.3.83
  • 126

본 연구에서는 2018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188명의 여군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군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직무능력을 확인하고, 취업역량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KNOW 시스템을 활용해 여군들이 가지는 상대적 우위의 직업(군)을 도출하고, 더불어 복무기간, 복무구분, 병과구분 등 취업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개인별 특성에 따른 보유역량 차이 분석을 통해 취업지원에 필요한 교육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군의 업무수행능력은 논리적 분석, 행동조정, 글쓰기, 학습전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성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으나 전체적으로 높은 역량의 항목은 일치하였 다. 둘째, 여군이 일반인 우위를 가지고 있는 역량은 업무수행능력 28개, 지식능력 20개로 총 48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직업(군)은 교육관련 직업에서 155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건설관련 직업 137개, 관리 관련 132개, 사회복지 관련 122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요구 분석결과는 업무수행능력에서는 읽고 이해하기, 말하기, 듣고 이해하기, 선택적 집중력, 사람파악, 문제해결, 판단과 의사결정, 시간관리, 기억력 등의 역량과 지식능력에서는 경영 및 행정, 사무, 심리, 교육 및 훈련, 국어, 영어, 안전과 보안, 법, 의사소통과 미디어 등의 역량 함양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ed the military holds them competencies analysis and search for a suitable job positions, along with those that want to analyze training needs for re-employ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bility to perform the work lives of Korean woman soldiers is a logical analysis, behavioral adjustment, in order of writing, learning strategies, service light, bottles, high rank, education, etc.,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omewhat, but overall, the items in the matching high competency. Secondly, the army has the ability to dominate the public’s ability to perform the work of 28, 48 out of a total of 20 knowledge skills competence. Third, women soldiers in a competitive profession, education and research 155, construction and machinery sectors 137, management and business sectors 132, were analyzed by the social welfare sector 122. Finally, the training needs analysis results is to read and understand, speak, memory, problem sol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