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여성의 고위험음주 변화추세에 관한 연령 - 기간 - 코호트 분석

Age-Period-Cohort Analysis of High-risk Drinking Trend among Female Adults in Korea

  • 1,01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의 고위험음주가 지속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 모색의 필요 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여성의 고위험음주율의 변화추이를 보다 분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분석과 로그선형모형을 적용한 연령-기간-코호트분석을 실시하였다. 기간효과분석의 기준연도는 2005년, 코호 트효과분석의 기준 출생코호트는 1975년생으로 하였다. 기술분석결과 여성의 고위험음주율은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19~29세, 30~39세 연령군에서의 고위험음주율 증가추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기간, 코호트효과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40~44세 연령층에서의 고위험음주율이 가장 높아서 기술분석과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코호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 최근에 태어난 코호트일수록 고위험음주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의 고위험음주율의 증가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비한 정책대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increasing trend of high risk drinking (HRD) among female adults in Korea. This paper aims to decompose the trend into their age, period, and cohort components. From 2005 through 2107, 13 cross-sectional waves of Korean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were employed to analyze AgePeriod-Cohort effects with a log-linear method of constrained generalized linear model (CGLM) using R package (apc.fit.function). While graphical descriptions of trend of HRD showed a linear increase, more discernable among female at age groups of 19-29 and of 30-39 in particular, statistical parameters estimated by APC-CGLM revealed different pattern of age effects, which rate of HRD was peaked at age group of 40-44 with a decline after that. Also, the models showed a cohort effects among both male and female adults with recent born cohort reporting a higher rates of HRD, which was more distinguishable for female adults. Some period effects were observed with a limitation of short ranges of years. Some possible explanations about APC effects observed were discussed. Also, some policy measurements are prepared to respond actively to increasing trend of HRD in future.

. 서론: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토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