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전자코를 이용한 국화 ‘Field Green’의 주요 향기패턴분석
Fragrance pattern analysis using an electronic nose of chrysanthemum ‘Field Green’
- 정재아 권영남 권오근 박종택 안명숙
- 인간식물환경학회
-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 201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8.10
- 151 - 151 (1 pages)
국화꽃의 기관(설상화, 통상화)에 따라 향기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Field Green’ 의 꽃을 PCA(주성분분석, Principle Component Analysis)와 DFA(판별함수분석, Discriminant Factorial Analysis)로 분석한 결과 설상화보다 통상화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설상화와 통상화에서의 향은 비슷하였으나 함량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국화‘Field Green’ 에서의 PCA결과 1-Hexanethiol, 4-Pentanolide, Dedyl acetate을 포함한 10종을 주요성분이 검출되었다. 또한 DFA를 이용한 향패턴 비교결과도 설상화와 통상화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통상화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전자코를 이용한 통상화분석은 향기가 있는 국화를 육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국화의 향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