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588.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립어의 범주적 특징과 그 유형

  • 574

이 글에서는 독립어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범주의 범위를 명확히 하며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해당 범주의 유형을 나누었다. 이 글은 아직 독립어의 범주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기존에 독립어로 다루어지던 것들만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독립어의 범주에서 다루는 데에 다소 논란이 되었던 것들까지 모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문장 성분의 하나인 독립어는 다른 문장 성분으로 간주될 수 없는 문장 내의 요소이다. 이는 문장 내에 분명하게 존재하는 어떤 요소가 다른 문장 성분들이 가지는 주요한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음’ 자체가 독립어의 가장 큰 특징이 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독립어의 범위를 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그 유형을 보임말, 부름말, 느낌 말, 응답말, 디딤말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features of the independent words, and to divide the types of the independent words based on them. Because the category of the independent words is not clear ye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look at what was previously treated as an independent words but also to consider some controversy in subclassification of the independent words. The independent words, which is one of the sentence components, is an element in the sentence that can not be regarded as another sentence components. This can be confirmed by clarifying that certain elements that are clearly present in a sentence do not have the key features of the other sentence components. Based on these features, the range of the independent words can be determined. And we will classify the types of independent words by applying various criteria.

1. 머리말

2. 독립어의 범주적 특징

3. 독립어의 범위

4. 독립어의 유형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