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세기 중반에 출현한 생성문법은 다양한 경험적, 이론적 모색을 통해 80년대에 들어서며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곧 이어 최소주의 기획에 따라 이론적 혁신을 꾀하게 된다. 김용하(1999)는 최소주의적 혁신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던때 나타난 업적으로서 최소주의 기획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한국어 통사론에 대한 기여가 자못 크다. 특히 최소주의의 두 기둥이라 할 수 있는 기능범주와 이동에 대해 다방면으로 논의하고 그에 대한 견해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 견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문제 제기는 한국어 최소주의 통사론을 모색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의 기능범주에는 무엇이 있는지, 구조격과 기능범주의 관련성은 어떠하며 이동이 관여하는지, 이동이 뒤섞기의 특성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포착할 수 있는지 등이 토론과 재검토를 요하는 주요 문제로 대두된다.
The generative grammar started in the mid of 20th century and arrived at 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P & P) around 80 s. Soon there was an evolutionary change in P & P caused by the Minimalist Program. Together with full-scale innovation in P & P, Kim(1999) tried to cope with the innovation by delving into the questions on the functional categories and the movement phenomena in Korean. Especially, the inventory of Korean functional categories, their featural (un)relatedness to movement phenomena, and the adequacy of explanation on scrambling based on movement theory etc. are main issues in Korean minimalist syntax from then till on. Reviewing Kim(1999) sheds lights on these issues.
1. 머리말
2. 김용하(1999)의 구성
3. 동사구 구조와 기능범주 v
4. 기능범주 I와 주격
5. 격 점검과 DP의 위치
6. 뒤섞기와 최소 연결 조건
7. CP의 명시어와 주제어
8. ‘하-’ 구문
9.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