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수준의 도움행동과 그룹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An Examination on Roles of Group-level Motives of Help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Effectiveness in the Group-Level
- 한국인사조직학회
- 인사조직연구
- 인사조직연구 제27권 제2호
- : KCI등재
- 2019.05
- 31 - 63 (33 pages)
최근 개인수준뿐만 아니라 그룹수준의 OCB가 그룹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실증연구들은 그룹수준의 OCB와 그룹 효과성 간의 관계가 항상 긍정적인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이들간의 긍정적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구성원 개인수준의 OCB 동기(motive)가 그룹수준에서도 존재할 수 있으며 그룹수준의 OCB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실증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CB 수행 동기의 관점에서 도움행동(helping behavior)에 초점을 두고 그룹수준의 도움행동과 그룹 효과성간의 관계에서 그룹수준의 도움행동 동기(조직향상 동기, 친사회적동기, 인상관리동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사회정보처리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관점과 추론이론(inference theory)에 기반하여 그룹 전반적으로 그룹원들이 특정한 동기를 가지고 도움행동을 수행하는 그룹수준의 도움행동 동기를 보유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룹수준의 도움행동의 동기가 어떠한가에 따라서 그룹수준의 도움행동이 그룹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85개 그룹의 팀장 및 그룹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그룹수준의 도움행동은 그룹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수준의 도움행동 동기와 관련하여 보면, 그룹수준의 친사회적동기가 높은 그룹일수록, 그리고 그룹수준의 인상관리동기가 낮은 그룹일수록 그룹수준의 도움행동이 그룹효과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룹수준의 조직향상동기는 그룹수준의 도움행동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에서 다루어진 OCB의 동기를 그룹수준으로 확장하여 그룹수준에서 그룹원들이 OCB에 대한 공유된 동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 그룹수준 OCB 동기를 고려함으로써 그룹수준 OCB와 그룹 효과성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실무적으로는 그룹의 리더는 그룹원들이 과연 어떠한 동기를 갖고 조직과 동료를 위한 자발적 도움행동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정리하였다.
Previous research has investigated whet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brings positive consequences to employees as well as organizations. In particular, recent meta-studies have shown that group-level OCB is positively related to group-level effectiveness. Nonetheless, other empirical studies have found that group-level OCB is not positively related to group-level effectiveness, suggesting that there may be possible moderators that can restrict and/or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level OCB and group effectiveness. In this respect, this study, focused on OCB motiv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oup-level OCB motives (organizational concern, prosocial,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level helping behavior and group effectiveness. Drawing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erence theory, this study tried to demonstrate that group-level OCB motives can be formed, while also examining how group-level OCB motives influence the group-level helping behavior-group effectiveness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85 teams in an organization using two sets of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to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consistent with prevailing studies, group-level help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group effectiveness. Regarding moderating effects of group-level OCB motiv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up-level helping behavior and group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only in groups with high levels of group-level prosocial motives and low levels of group-level impression management motives. However, there was no support found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group-level organizational concern motives.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level OCB and group effectiveness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s of group-level OCB motives. From a practical aspect, this study shows that group leaders or organizations nee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reasons why group members engage in OCB and try to lead their group members to have altruistic motives in regard to OCB. Limitations of research and the agenda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