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MBTI 성격 유형의 하위 지표별 원예치료 활동 선호도

Preference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by Sub-Index on MBTI Personality Type

  • 242
147553.jpg

원예치료에서 원예활동은 원예치료의 치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개체로 식물을 대상으로 한 간접적이고 수동적인 활동과 직접적이며 능동적인 활동을 포함하여 원예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정의하고 있다(Son et al., 2006; Son et al., 2016). 원예치료 의 경우 치료자들의 일방적인 치료적 행위로 대상자의 상태가 변화하는 것이 아닌 대상자와 치료자간의 원예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함께 동반 되어야 원예치료의 치료적인 중재효과가 나타난다(Son et al., 2006; Son et al., 2016). 그러므로 대상자의 적극적인 원예치료 활동 참여를 위해 원예치료 활동에 대한 대상자의 선호도는 원예치료 프로그램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성격유형별 선호하는 원예치료 활동을 알아보고자 MBTI 성격 유형 검사를 실시하고, 성격 유형의 하위 지표 별 선호하는 원예치료 활동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MBTI 성격 유형 하위 지표 분류로는 에너지 방향, 정보인식, 판단, 생활양식 4가지의 기준에 따라 각 기준 특성별 원예 치료 활동 선호에 미치는 활동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에너지 방향에 따라 외향형의 경우 실내조원과 직접자연느끼기가 원예치료 활동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내향형의 경우 공예 및 요리 활동과 직접 자연 느끼기 활동이 원예치료 활동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식기능의 경우 감각형은 실내조원 활동, 직접자연느끼기 활동, 공예 및 요리 활동이 선호에 영향을 주었고, 직관형의 경우 실외 조원 활동, 실내조원 활동이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판단기능에 따른 결과로는 사고형은 직접 자연 느끼기 활동, 실내 조원 활동이 영향을 미쳤으며, 감정형은 실내 조원 활동과 공예 및 요리 활동이 원예치료 활동의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활양식 특성에 따라서는 판단형의 경우 실내조원 활동과 직접자연느끼기 활동, 인식형의 경우 공예 및 요리활동과 실내조원 활동이 원예치료 활동의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추후 원예치료 활동의 구성 단계에서 대상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원예치료 활동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로 연구의 대상자가 대학생으로 한정되어 있기에 추후 다양한 연령대에 대한 연구 자료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