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적: 녹내장 및 분지망막정맥폐쇄환자에서 두 가지 시야검사를 통해 망막신경절세포층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 및 분지망막정맥폐쇄로 진단받은 환자 각 40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Frequency-doubling technology (FDT) C24-2 및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SAP) C24-2의 median deviation (MD), pattern standard deviation (PSD), 손상된 hemifield의 sensitivity를 비교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의 retinal nerve fiber layer와 시야검사의 MD 간 상관관계로 구조-기능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MD는 모든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SD는 FDT C24-2에서 녹내장환자군이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22), SAP C24-2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44). Hemifield sensitivity 비교 시 녹내장환자의 FDT C24-2 손상 범위가 SAP C24-2보다 유의하게 컸다(p<0.01). 구조-기능 관계에서 녹내장환자가 분지망막정맥폐쇄환자보다 높은 R 2 값을 보였다(p<0.01). 결론: 녹내장환자는 FDT C24-2에서 더 넓은 시야손상 영역을 보였으나 분지망막정맥폐쇄환자는 두 시야검사 간 손상 영역이 비슷했 다. 이는 손상된 망막신경절세포의 종류 및 분포가 질환별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감별 진단 및 치료 방향 결정 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analyzed and compared retinal ganglion cell damage between patients with glaucoma and those with branched retinal vein occlusion (BRVO). We performed two types of visual field examinat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0 glaucoma eyes and 40 BRVO eyes. We compared the median deviation (MD), the pattern standard deviation (PSD), and sensitivity of damaged visual hemifield from frequency-doubling technology (FDT) C24-2 and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SAP) C24-2 visual field tests evaluation. We sought correlations between the MDs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s reveal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MD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PSD value was higher in glaucoma patients with FDT C24-2 test (p = 0.022), but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SAP C24-2 test (p = 0.144). In terms of the sensitivity of the damaged visual hemifield, glaucoma patients had larger areas of damage in the FDT C24-2 test (p < 0.01). In regression analyses, the log R 2 values of both tests were higher in glaucoma patients. Conclusions: Glaucoma patients had a greater damaged visual field area in the FDT C24-2 test than the SAP C24-2 test. The BRVO patients exhibited similar extents of damage in both tests. Thus, the subtypes and distributions of damaged retinal ganglion cells may differ between the conditions, facilitating differential diagnos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5):455-462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4)
- 인공눈물 점안 횟수에 따른 눈물 내 총 단백질과 리포칼린 농도의 변화
- 굴절부등근시환자에서의 우세안과 굴절이상의 관계
- 밤 가시에 의한 각막이물환자에서 각막절개를 통한 이물제거
- 스마일수술과 펨토초라식수술 후 안구건조증 지표의 단기 관찰
- 녹내장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안압하강에 영향을 미치는 전방각경 점수 및 술 전 인자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검열반의 양상 분석
- 혈관육종환자에서 파조파닙 치료 이후 발생한 양안 열공망막박리
- 급성 원발폐쇄각녹내장으로 레이저홍채절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
- 녹내장 및 분지망막정맥폐쇄에서 두 가지 시야검사를 통한 망막신경절세포층 손상의 비교 연구
- 네 종류의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젊은 정상인의 황반부 망막두께 비교
- 녹농균, 아시네토박토 바우마니, 오크로박트럼 안트로피 복합감염에 의한 각막염
- 20년 동안 증상없이 잔존한 수정체 내 이물제거 후 발생한 안내염
- 열공망막박리환자에서 초기 안압에 따른 임상적 특징
- 옥스카르바제핀 복용 후 발생한 양안의 백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