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하 북간도 명동학교의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와 근대 국가 개념

Nationalism and Nation-Building in the Textbooks of the Myungdong School in North Chientao, 1908-1925

  • 247

본 논문은 일본 식민지 시기 북간도에 설립된 명동학교에서 발현하는 민족주의 저항 운동과 근대 국가 건설이라는 국가적 과제가 어떻게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되어 있으며, 그 성격과 특징은 무엇인가를 규명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명동학교에서 민족주의 의식의 형성, 항일 결사체의 조직, 그리고 만주 지역의 항일 운동을 위한 다양한 연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민족주의 운동과 근대 국가 건설에 대한 본질과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명동학교에서 사용된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방법론적으로는 근대 민족 형성에 대한 두 입장인 근대주의적 시각과 역사주의적 시각을 상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러한 이론의 틀 속에서 명동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 운동과 근대 국가 건설을 조명하고자 한다. 특별히, 교과서를 보 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논의 틀로서 “자주 독립”, “인민 주권과 평 등”, “한민족 공동체”라는 개념어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명동학교의 민족주의 운동의 성격과 특징은 국민 주권, 자유권, 평등권이 보장되는 문명개화의 근대 국가를 지향했음을 밝혀볼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nti-Japanese movements and nation-building that emerged at Myungdong School in North Chienta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arlie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tic consciousness and anti-Japanese organizations and also solidarity between the school and diverse nationalist student groups in Manchuria. However, this paper pays more attention to school textbooks and their relevance to post-colonialism and nationalism at Myungdong School. Drawing on two theoretical frameworks on nation/nationalism – modernist and historical perspectives, it illuminates the central roles and meanings of national myths, historical memories, and collective traditions represented in school textbooks which were related to nationalism and nation-building in colonial Korea. This research focuses on pivotal concepts of “self-independence”, “people’s sovereignty and equality”, and “a unified Korean community” in order to analyze textbooks in a systematic way. It concludes that the post-colonialism and nationalism of Myungdong School pursued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nation which consisted of sovereignty, freedom, and equality as elements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Ⅰ. 들어가는 말

Ⅱ. 북간도 기독교 디아스포라와 근대 민족/민족주의 담론

Ⅲ. 명동학교와 민족주의 교육 사상의 형성과 성격

Ⅳ. 근대 국가 개념의 탄생과 전유: 텍스트와 민족주의 정치학

Ⅴ.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