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낙원에서 복낙원으로의 귀환
From Paradise Lost to Paradise Regained :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 and Basic Income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81집(2018년 여름호)
-
2018.06109 - 140 (32 pages)
- 266
이 논문은 인공지능에 의해 효율성과 생산성이 극대화하는 자동화 사회에서 일자리가 감소되고, 양극화가 심화될 때, 하나님 나라의 실현, 즉 회복된 낙원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를 논의한다. 본고는 과학기술에 대한 전면적 부정이 아니라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독교 신앙의 오래된 약속, 즉 복락원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함을 강조한다. 인공지능의 시대에 모든 분야에서 자동화가 진행·심화되면서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양극화가 확대될 때, 노동자들은 경제적 고통과 더불어, 정치 참여의 의지와 기회가 축소되고, 자신과 타인을 물화시키며 인간 존재의 가치를 부정할 위험성이 크다.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초래하는 실업과 양극화, 그리고 그에 수반된 인간 가치의 하락을 고려할 때, 본고는 노동에 대한 근원적인 재개념화가 필요하며, 기독교적 개념으로는 실낙원의 저주받은 노동에서 복락원의 창조적 노동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유급 노동만이 유의미한 노동처럼 여겨지는 현 시대에 관심과 돌봄의 무급 노동의 가치와 중요성을 발견하고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노동의 변혁적 이해는 기본 소득의 바탕 위에 정립 가능하다. 기본 소득을 통해서 무급 노동을 주변화시키는 유급 노동 중심의 사회를 관계와 돌봄을 추구하는 무급 노동 중심의 사회로 만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향으로 인공지능의 시대를 대처하면 기독교는 실낙원에서 복락원으로의 귀환이라는 새로운 희망과 변혁적 시야를 사회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ways in which we can realize the kingdom of God, that is, Paradise Regained, in a world in which unemployment rises and social polarization deepens and in which society is automated by system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maximize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 conten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a medium to realize the age-old promise of Christian faith, rather than be a stumbling block thereof. Having experienced lay-offs and social polarization, people are prone to objectify others, deny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and lose the will to participate in politics. Considering the rising unemployment and increasing social polarizatio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bring, we need to reconceptualize labor in a radical way. It is a transition from the labor of Paradise Lost to that of Paradise Regained. While we have regarded paid work as the only meaningful labor, in an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need to place a high value on unpaid work of care. This radical understanding of labor is possible through basic income which provides everyone with a living wage. Transforming a society of paid work to that of unpaid work of care, we can prepare a way to return from Paradise Lost to Paradise Regained in the coming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Ⅰ. 들어가는 글
Ⅱ. 인공지능과 그 사회적 영향력
Ⅲ. 인공지능의 시대를 대처하는 세 가지 접근 방법
Ⅳ. 인공지능 시대의 복락원 귀환의 조건
Ⅴ. 나오는 글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