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화의 관점에서 본 바울의 개혁 사상
Paul s Reform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tion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80집(2018년 봄호)
-
2018.0375 - 108 (34 pages)
- 43
서구적 기독교의 관점에서 바울은 내면적 양심의 갈등을 많이 겪은 인물로 해석되었다. 바울이 “자신이 원하는 선은 행하지 않고 원치 않는 악을 행한다”고 말했을 때(롬 7:19), 이런 죄책감과 양심적 갈등을 겪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바울은 행복하고 성공적인 유대인이었다. 그는 내면적 양심의 갈등으로 괴로워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바울이 자기 속의 또 다른 자아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내면적, 죄책의 관점이 아니라 카를 융의 개성화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려고 한다. 개성화의 관점은 선과 악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대 극적 자아를 통합하려 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바울이 히브리인 중 히브리인 이라고 하면서 자랑스럽게 여기던 것은 자아의 모습이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 태어난 신분은 자기의 모습이다. 바울은 속사람을 긍정하지만 육체를 부정하지 않으며, 자기의 탄생을 선언하지만 자아를 부정하지 않는다. 인간은 그리스도 안에서 승리를 선언한 후에도 여전히 자아와 자기 속에서 모순을 겪는 존재임을 말하고 있다. 그렇게 탄생한 자기는 교권이나 예루살렘이라는 중심에 예속되지 않는다. 주체는 탄생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로 복음을 받고 그리스도의 자유 안에서 활동한다. 그런 점에서 오늘의 현대인에게 요청되는 개혁성을 찾을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Christianity, the Apostle Paul was seen as a man who grappled with introspective conscience and guilty feelings, especially when he said “I do not do the good I want, but the evil I do not want to do is what I do”(Rom. 7:19). However, Apostle Paul was a happy and successful Jew. He did not struggle with his introspective conscience. In this article, we will try to interpret Paul s another ego within himself in the light of individuation theory of Carl Jung. In the light of individuation, we do not fall into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but we can try to integrate one s ego into Self. From this point of view, Paul as a Hebrew of Hebrews was a proud and old “ego”, and the Apostle Paul who was reborn in Christ is “Self.” Paul affirms the inward man, but does not deny the flesh, proclaims birth of Self but does not deny his ego. Paul says that after declaring victory in Christ we still live in ambiguity and contradiction between ego and Self. The reborn Self is not subordinated to the center of authority or Jerusalem. The subject is born, receives the gospel through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and works in the freedom of Christ. In that sense, we can find some reform thoughts for modern people in Paul.
I. 시작하는 말
Ⅱ. 바울에게서 주체의 탄생
III. 바울에게서 대극의 통합
IV. 그리스도를 모시고 있는 자아
V. 맺는 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