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동성애와 신학적 인권

Homosexuality and Theological Right: Thomas Aquinas’s Theology of Sexuality

  • 321

동성애자는 기독교인이 될 수 있는가의 질문은 쉽게 결론짓고 대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심리적, 유전적 연구들과 더불어 추가적인 성서 해석학과 기독교의 교리적 전통에 대한 엄밀한 비판적 성찰을 필요로 하는 신학적 난제 중 하나이다. 본 소고는 동성애를 “역리”(逆理) 곧 “자연의 질서에 거스르는”(contrary to nature) 것으로 반대한 중세의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의 신학을 자연스러운 목적으로서의 생식, 자연스러운 대상으로서의 배우자, 자연스러운 방식으로서의 이성애라는 세 가지 차원의 주요 주장들과 추가적인 여덟 가지 하위 주장들을 통해 고찰한다. 이어서 필자는 이러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적 논리에 대한 은총의 신학의 동반자성, 강요된 독신, 몸의 창조성 등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주요 반론들과 열한 가지 하위 도전들을 제기한다.‘법률적 인권’이 역사와 문화적 부침을 가지는 상대적 권리라고 한다면, ‘신학적 인권’은 존재 자체로서의 은총에 기초하는 변하지 않는 절대적 인권이며 동성애자도 이러한 인권의 대상이라고 본 소고는 결론에서 옹호한다. 신학적 인권은 한 인간의 행동이나 죄의 유무를 떠나서, 절대적으로 하나님이 부여하는 존재 자체의 인권이기 때문이다.

Whether a homosexual person can become a Christian is a theological aporia to be answered, which requires not onl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genetic researches but also critical investigation of biblical hermeneutics and Christian doctrinal tradi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omas Aquinas’s theology of sexuality, who opposes homosexuality as an action “contrary to nature”, in terms of his three major arguments based on the purpose, partner, and manner of natural sexuality and eight additional arguments. The article also offers the author’s three counter- arguments of theology of grace, based on companionship, forced single status, and bodily creativity, and eleven additional objections. As a conclusion, the author claims that Chistian theology needs to distinguish ‘legal right’ from ‘theological right.’ While the former changes in history and culture, the latter is an absolute unchanging right of being itself as being graced. Even a homosexual person cannot escape this graced nature and theo- logical right affirms being a person itself as being graced. For theological right is an absolute right of merely being a person, apart from any question of whether the person is a sinner or of what he or she does in life.

Ⅰ. 자연과 동성애

Ⅱ. 출산의 목적

Ⅲ. 결혼의 필요성

Ⅳ. 임신이 가능하지 않는 방식

Ⅴ. 주장과 반론

Ⅵ. 나오는 말: 하나님의 은총으로서의 신학적 인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