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소스토무스의 경제 사상 연구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73집(2016년 여름호)
- : KCI등재
- 2016.06
- 171 - 198 (28 pages)
4세기 말 콘스탄티노플의 감독이었던 크리소스토무스는 재산을 잃고 쫓겨난 수많은 사람들을 위해 로마제국의 권력과 부를 거머쥐고 탐욕에 가득 찬 사람들을 향해 공의를 선포했다. 그는 부와 빈곤 간의 인과관계를 지적했고, 토지와 천연자원을 독점함으로 인간을 노예화하는 그 당대의 불의한 경제체제가 공의로운 사회로 개혁되도록 강단에서 외치며, 삶의 현장에서도 모범을 보여 주었다. 크리소스토무스는 하나님의 공평과 정의에 근거하여 판단했으며, 법과 제도에 대해서 합법 여부가 아닌 공의 여부를 중심으로 올바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토지와 천연자원에 대한 사적 소유는 인간을 노예로 만드는 심각한 죄악임을 지적했다. 크리소스토무스는 인간의 기본 평등권과 천부인권을 강조하면서, 토지 소유권의 독점에 대해 단호하게 거부하며 희년 사상을 제시해 주었다. 그는 교회를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걸친 나그네 쉼터, 구빈원, 무료급식 등의 구제활동을 제도적 차원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그는 당시 유독시아 여제를 향해 가난한 사람들의 토지를 빼앗은 이세벨이라고 공개적으로 책망할 정도로 정치 영역에서도 담대하게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했다. 이러한 크리소스토무스의 경제 사상은 현대 사회의 양극화를 초래하는 토지 투기와 막대한 상속 등의 불로소득이 불의하다는 것을 강조했으며, 불로소득 환수와 부채 탕감 운동과 같은 그리스도인의 공의로운 경제 사상의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a study on the economic thought of Chrysostomus. In the global era of which meta-value is neoliberal economic thought, the problem of social polarization is so serious that a lot of people are suffering from it. At his time, Chrysostomus cried for justice for the people who lost their property due to the greedy who grabbed the power and wealth of the Roman Empire. He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alth and poverty, claiming the reformation of the society against the unjust economic system of allowing the rich to monopolize land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the biblical principle focusing on the jubilee and justice of God, he suggested an alternative of which criterion was not a legal one, but a transcendent one, which is fit for God’s perspective. Especially, he argued that the private ownership of land was a serious crime because it caused human beings to be the slave of money. Emphasizing on the basic human right of equality and natural rights, Chrysostomus denied the monopoly of land ownership. Instead, he presented the principle of Jubilee as an alternative, stressing on the fellowship(koinonia) as a model of human solidarity. Giving up his private property, moreover, he showed himself an example of the true richness of communal life. He supported the poor in various ways like supplying food, assisting funerals and participating in works for emergency relief in monasteries as well as institutional churches. Furthermore, he had a prophetic role in the political realm enough to condemn openly Eudoxia called a Jezebel who had robbed poor people of their lands in the time of the Empress Eudoxia. Thus, the economic thought of Chrysostomus has shown the injustice of income, such as land speculation and immense inheritance leading to polarization of the modern world. He has also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economic thought of righteous Christians, such as the restitution of unearned income and the debt reli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크리소스토무스의 교회 개혁과 사회 개혁의 실제
Ⅲ. 부유한 소수의 막대한 재산 상속과 축재로 인한 대다수의 빈곤
Ⅳ. 공유 경제: 필요 이상의 재산을 궁핍한 자들과 공유하는 것이 공의
Ⅴ. 토지와 자연 만물에 대한 공유를 통한 희년 실천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