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성도의 악행과 구원

A Wrongdoing of a Christian and the Salvation: A Study of Luke’s Soteriology

  • 103

본 연구는 ‘성도의 악행이 구원을 취소하는가?’라는 신학적 물음에 누가복음에 나타난 ‘구원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 그 대답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신교의 구원에 관한 교리는 지금까지는 바울을 중심으로 한 ‘칭의론’ 즉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오직 믿음으로만’(Sola fide)에 근거한 구원론은 기독교인들에게 상대적으로 행위를 가볍게 여기게 해 결국‘행위 없는 믿음’이라는 부작용을 낳게 하였다. 복음서 특히 누가복음에는 구원에 관한 에피소드가 모두 다섯 개가 등장하며 그 중에 세 개(선한 사마리아인: 10장, 부자 관원: 18장, 삭개오: 19장)는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관련하고 있는데, 여기서 모두 구원은 철저하게 행위와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누가 구원을 받을 수 없는가’에 대하여 말해주는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16장) 역시 부자의 ‘사회적 책임 결여’가 그가 음부(하데스)에서 고통을 받는 이유임을 드러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구원받는 자의 수가 적은가’에 대한 질문(13장)에서 예수는 ‘악행을 행하는 자들’(성도)을 그의 선택에서 제외하고 그로부터 쫒아냄으로 아무리 그와 함께 식탁에서 떡을 떼고, 그에게 가르침을 받은 자라고 할지라도 악행을 하였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밖에서 슬피 울며 이를 갈수도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 이러한 누가의 구원론은 ―일반서신의 야고보서와 함께― 바울의 구원론으로 부작용을 앓고 있는 한국교회가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구원론일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ed for the answers to the theological question ‘if a wrongdoing of a Christian revokes his or her salvation,’ through ‘the teachings of Jesus on redemption’ shown in the Four Gospels. Until now, Protestantism doctrines on redemption focused on Paul’s theory of justification that it is gained only by faith. Soteriology based on sola fide relatively gave Christians the idea to take actions lightly creating the side effects of ‘faith without deed.’ Especially in the book of Luke, there are 5 episodes on salvation. 3 events (the Good Samaritan (Ch.10), the rich ruler (Ch.18), and Zacchaeus (Ch.19)) are related to the question ‘how to be saved,’ and these clearly show that all salvation is connected to action. In addition, the episode on the rich man and Lazarus (Ch.16) describes ‘who cannot be redeemed’ and explains that ‘the abs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a rich man is the reason why he suffers in sheol (Hades). Finally, for the fifth question ‘if the saved ones are only few (Ch.13),’ Jesus exempted and removed ‘the wrongdoers’(Christian) from his choice. Jesus warns that even if they had shared the bread from the same table, or had been taught by him, if there is misdeed, there will be weeping and gnashing of teeth in the end. Luke’s soteriology –including the book of James- is a study that the Korean Church, suffering from the side effects of Paul’s soteriology, must look into for an alternative.

초록

I.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