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한 꿈": 소녀야 일어나라!
A Bold Dream: "Talitha, Qumi!" -Theology of Mercy Amba Oduyoye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68집(2015년 봄호)
- : KCI등재
- 2015.03
- 105 - 141 (37 pages)
미국에서 시작된 백인 여성 중심의 페미니스트 신학뿐 아니라, 미국의 아프리카 여성신학인 우머니스트 신학과 구별되면서 아프리카 대륙의 여성들의 사회적 문제 상황을 담은 아프리카 여성신학이 1980년대에 태동되었다. 이러한 신학의 발전에 주춧돌을 놓은 이가 바로 멀시 암바 오두요예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프리카의 여성신학과 특히 멀시 암바 오두요예에 대하여 한국 신학의 담론의 장에 소개하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 중심의 여성신학 논의에 다른 방향성을 제시하여 지평을 넓히기 위함이며, 또 전통과 문화적 특성상 유사한 모습을 지닌 아프리카 여성신학을 고찰함으로 써 타자 속에 깃들여진 우리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며 우리의 신학논의를 풍성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멀시 암바 오두요예의 신학적 시도는 이러한 목소리를 전해줄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녀의 신학은 아프리카의 가부장적 문화와 전통, 식민지 유산, 서구 문명과 규범의 지배에 대한 항전이다. 본론에서는 오두요예 신학에서 주요 화두가 되는 개념들인 토착화, 여성연대, 기독교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그녀의 신학을 고찰하였다. 아프리카 여성신학의 향후 연구에 대한 비판적 제언을 하면서 이 논문은 마무리되는데, 이는 아프리카뿐 아니라, 아프리카 교회와 관계하는 우리의 신학과 선교의 내용과 자세를 교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frican womens theology has erupted in comparison with feminst theology and womanist theology in USA in the 80's in Africa. The aim wa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 The person who made this movement possible is Mercy Amba Oduyoy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her and her theological thought to the Korean discourse of theology. The tendency of Korean theological discourse is to be more western theology oriented and driven. To widen our horiz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t voices from other contexts. Mercy Amba Oduyoye's voice is one of them. She is struggling against African patriarchy, colonial heritage and the dominance of western style culture and norms. Keywords of her theology are as follows: indigenization, solidarity of women, crossroads Christianity. This kind of attempt will help us to correct our theological attitudes and support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theological debates as well. The author closes up this article with some critical remarks and some suggestions in terms of the further development of African woman's theology and as well as ours.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아프리카 여성신학의 발전과정
Ⅲ. 아프리카 여성신학의 대모의 기독교 사상
Ⅳ. 향후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