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세계관과 과학적 세계관의 통일로서의 생태 담론
Die Einheit der religiösen und naturwissenschaftlichen Bewußtseines im ökologischen Diskurs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66집(2014년 가을호)
- : KCI등재
- 2014.09
- 248 - 272 (25 pages)
이 글의 목적은 종교와 과학의 대화 가능성을 넘어 종교와 과학의 본질에 천착하며, 그것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있다. 종교와 과학의 문제는 단순히 학제 간의 대화 그 이상의 함의를 지닌다. 종교적 의식과 과학적 의식은 그 근원에 있어서 다르다. 그러나 그 둘은 똑같이 인간의 삶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종교적 의식과 과학적 의식은 일정한 사회적 삶의 양식을 반영하며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교와 과학의 문제는 인간의 사회적 삶의 양식을 규정하는 노동의 방식과 자연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다. 실제로 종교와 과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자연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종교적 의식은 자연 속에서 생명을 살리려는 마음에 집중되어 있고, 과학적 의식은 자연 속에서 생명을 사리는 물질 자체에 집중되어 있다. 17세기 이후 인류는 "탈마법화된 자연"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자연 위에 군림하기를 꿈꾸었다. 인류는 과학을 통하여 자연을 속속들이 알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를 형성하고 자유와 해방을 얻었다. 그러나 그것은 재앙도 함께 갖다 주었다. 생태 위기의 현실이 그것이다. 생명 행위 안에는 종교와 과학적 세계관의 중심 주제인 마음과 물질이 통일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자연 속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종교와 과학의 대화, 통일에 대한 논의는 생명의 관점에서 이루어질 때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이 글은 생명의 관점에서 종교와 과학의 통일의 가능성과 필연성에 대한 논증과 함께 두 세계관의 통일을 향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Diese Arbeit hat zum Ziel, die Möglichkeit und Notwendigkeit von der Einheit der Religion und Naturwissenschaft im ökologischen Prinzip des Lebens zu herausfinden. Der Dialog ihrer ist bedeutungsreich. Das letzte Ziel des Dialogs besteht in der Überwindung der ökologische Krise in unsere Epoche. Die beiden Bewußtseine reflektieren die Bereiche des soziale Lebens und der gesellschaftlichen Arbeitweise. In der letzteren vermitteln sich Natur und Mensch. Die beiden Bewußtseine unterscheiden sich in ihrem Wesen. Das religiose Bewußtsein schaut den Geist in der Natur an. Aber Das naturwissenschaftliche Bewußtsein abstrahiert sich von ihr. Es wird vom Willen der Herschaft geleitet. Vom 17. Jahrhundert bis heute hoffen die Menschen, über die Natur zu herrschen. Die Menschen glauben, daß es durch das die Natur entzauberende Wissen ermöglich wird. Wissenscaft und Technik haben dem Menschen die Befreiung und Freiheit von der Arbeit geschenkt. Aber die Resultat: die ökologische Krise, d.h. die Entfremdung des Menschen von der Natur und den Mitmenschen. In der Natur ist das Ding und der Geist eins. Daher ist der Dialog von der Religion und Naturwissenschaft nur in der ökologischen Perspektive möglich.
초록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