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탈근대적인 신 인식론의 가능성 탐구

A Postmodern Investigation of Knowledge of God: Beyond Karl Barth’s Realism and Don Cupitt°Øs Antirealism

  • 72

객체 우위적인 사고를 하는 실재론자(realist)가 보기에, 객체는 주체로부터 전적으로 자유로우며, 객체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주체는 전적으로 무력하다. 주체 우위적인 사고를 하는 반실재론자(antirealist)가 보기에, 객체는 전적으로 주체에 의존하며, 객체는 주체가 구성하는 표상에 불과하다. 이렇게 실재론자들은 주체에, 반실재론자들은 객체에 인식론적인 폭력을 가했으니, 그들이 그런 폭력을 저지른 것은 근본적으로 그들의 사유가 주체와 객체를 완전하게 단절시킨 근대의 이분법적인 유산에 기초했기 때문이다. 주체와 객체를 엄격하게 분리시키는 근대의 이원론적 사고는 신학도 예외가 아니다. 예를 들어, 칼 바르트(Karl Barth)는 실재론적인 관점에서, 돈 큐핏(Don Cupitt)은 반실재론적인 관점에서 신 인식론을 전개했다. 이 둘의 신학적 내용은 서로 다르지만 그 구조는 동일하다. 왜냐하면 그들 모두 주체와 객체를 분리시키는 이원론적인 인식 구조에 그들의 신학을 기초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적인 이원론적 인식 구조는 폭력적인 서열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것은 철학이나 신학에 시급히 요청되는 탈근대적인 인식론의 과제이다. 본 논문은 바르트의 실재론적 관점과 큐핏의 반실재론적 관점을 넘어서는 탈근대적인 신 인식론의 이론적 기반을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에서 찾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현존재와 세계가 서로 상호의존하는 존재론적 영역을 선험적으로 확보하여 세계에로 초월하는 현존재가 세계에 지향적으로 이미 개입하고 있다고 봄으로써 근대적인 주객 분리를 넘어섰다. 특히, 하이데거의 실존 범주를 심리학적인 것이 아니라 해석학적으로 존재론적인 범주로 이해했을 때는 주체의 지향적인 개업을 인정하면서도 계시의 초월성을 제약하지 않는 신 인식의 가능성을 열기에 더욱 더 기독교 신학은 하이데거적인 관점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Kant separates subject from object completely in his transcendental philosophy, Kant’s dichotomic structure had a huge influence on modern epistemology. Based upon this strict separation of subject from object, realists such as Karl Barth think that object exists independently on subject, while antirealists such as Don Cupitt, dependently. However, such a dualism should be overcome, because it is a violent ranking structure. Heidegger’s phenomenological ontology of Dasein can contribute to overcoming it. Through the fore-structure of understanding, he overcomes the positivistic point of view which separates subject from object. Heidegger’s existential category is the hermeneutically ontological condition which does not make a limitation to experience but makes it possible. Karl Rahner also thinks of existential category as a possible condition of experience.

초록

1. 들어가는 말: 폭력적인 서열구조로서의 근대적인 이원론적 인식구조

2. 근대적인 신 인식론의 딜레마

3. 하이데거의 탈근대적인 사유

4. 결론: 신 인식의 형식적인 조건으로서의 인간 실존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