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무의 인권 사상
Ahn ByungMu's Thought of Human Rights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60집(2013년 봄호)
-
2013.03167 - 198 (32 pages)
- 79
이 글은 민중신학자 안병무의 인권 사상을 평가함으로써 오늘의 인권 현실에 대한 진단과 전망을 내는 데 신학적으로 개입하는 하나의 입지점과 근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안병무의 인권에 관한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 특정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권위주의적 국가권력에 의해 인권을 유린당하는 민중의 현실을 보고 권위주의적 국가권력에 대응한 비판적 성격을 지나고 있다는 점이며, 둘째는 그러한 현실에서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의 인권옹호 사명을 일깨우는 계몽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특별히 주목해야 할 점은 안병무의 인권 사상의 주요 초점이 무엇이며, 그것이 오늘의 현실에서 어떤 유의성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안병무는 한편으로는 근대 서구 사회로부터 형성된 인권의 가치를 충분히 수용하면서도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제기된 인권의 의미를 분명하게 부각시켰다 안병무의 인권 사상의 가장 중요한 특정은 민중의 생존권을 인권의 핵심적 요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먹고사는 문제의 차원에 한정되지 않고 민중의 주체성을 온전히 구현하는 차원을 함축하고 있다. 안병무는 그 인권의 요구가 성서가 말하는 인권의 대전제에 의해 뒷받침 될 뿐 아니라 예수가 보여준 인권옹호의 실천과 부합한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인권에 관한 신학적 성찰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나아가 인권유린이 일어나는 현실의 근본원인이 ‘공(公)’ 의 사유화에 있음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통해 인권을 배제한 역사와 현실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안병무가 놓은 초석 위에서 인권에 관한 신학적 성찰을 진전시키는 것은 오늘의 선학이 감당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다.
This article studied Ahn ByungMu’s thought of human rights. Ahn ByungMu’s thought of human rights has two major features. First, it has a critical nature against authoritarian state power that violates human rights of the people. Second, it has a nature of the enlightenment that awakes Christians and churches to advocacy for human rights in such reality. What is the main focus of Ahn ByungMu’s thought of human rights, and it has any meaning in the reality of today? Ahn ByungMu accepted the value of human rights that formed from modern Western society, and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meaning of human right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hn ByungMu’s thought of human rights is that he recognized the people's livelihood as the core essence of human rights. It has not meaning of ensuring the survival of people, but also meaning of realizing the sovereignty of people. Ahn ByungMu claimed that the needs of those human rights are not supported by the ideas of human rights in Bible, but also are consistent with Jesus' practice of human rights. Furthermore, he recognized that the root cause of human rights abuses is the privatization of 'publicityt(公)'. Through these discussions Ahn ByungMu opened the way to reflect the history and reality essentially without human rights. Today's theology should develop a theological reflection on human rights on the cornerstone being embroidered by Ahn ByungMu.
초록
1. 서론
2. 보편적 인권 논의의 지평과 기독교 신학
3. 안병무의 인권 사상
4. 결론
5.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