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이성종교 이해
Understanding of Kant’s rational religion - Surrounding the objects of hope and two practical antinomies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58집(2012년 가을호)
-
2012.0993 - 125 (33 pages)
- 193
칸트에게서 종교는 희망 곧 ‘바람’에서 생긴다. 도덕적 의무와 관련해서 인간이 ‘바랄 수 있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의무의 완전한 이행이다. 도덕적 자기완성 곧 최상선이다. 또 하나는 최상선과 결합하는 행복 곧 최고선의 문제다. 이 두 가지 바람은 각각, 바랄 수 없는 가운데 바라는 것이고, 바라서는 안 되는 것을 바라는 것이므로, 이율배반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적으로 완전한 인간이 되는 것은 인간의 악의 성향 때문에 이 땅에서 바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보다 더 선해야 하는 의무가 있고,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악에 대한 용서를 받아야 한다. 그래야 도덕적 노력을 지속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되는 것이 대속의 은총이다. 보충해주는 은총이 있어야 도덕적 완성의 의무를 이행할 것을 바랄 수 있다. 또 하나는 최고선의 차원이다. 인간은 도덕적 자기완성을 바라면서 동시에 복이 거기에 더해지기를 바라게 된다. 이것은 세상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데, 그래서 도덕적이면서 전능한 신의 존재가 필연적이게 된다. 칸트의 종교는 이처럼 두 가지 이율배반에서 필연적으로 은총에 대한 신뢰가 생기는 데서 비롯된다. 도덕적 이념의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은 은총의 힘을 믿게 된다. 그 믿음은 인식인데, 이론적 인식이 아니고 실천적 인식이다. 칸트가 말하는 종교는 도덕에 의한 도덕을 위한 도덕의 종교다.
For Kant, religion is related to hope or wish. In connection with moral duty, what human can hope are two things. One is accomplishment of moral mission, which leads to the state of a saint or of a perfectly free being. The other is the hope for happiness. These two kinds of hopes are antinomies, in so far as they are respectively cannot and should not be wanted at first. To be a perfectly free person is not to be expected because of unremovable human inclination for evil. However, we have to push to reach it, because the commandment does not command what is impossible to do. So it is impossible and possible at the same time. This is an antinomy of external help and internal self-accomplishment. Here comes the necessity of non-autonomous grace of pardon or prosecution even in order to make endless efforts for the goal of moral being. Another asking for grace appears on the level of the highest and total good, which adds the good of happiness to the expected moral perfection. In so far as the universal moral law, which obliges us to realize the ideal of moral perfection on our own, is the fact of reason, the existence of God is but to be necessary. Like this, he who does its best to reach the reality of the ideal gets to believe the grace of God. This belief is comprehension, which is not theoretical knowledge but practical conviction. Religion, for Kant, is for the moral and by the moral.
초록
1. 좋은 것을 바람
2. 악의 성향과 이율배반
3. 도덕과 종교의 관계
4.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