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 기독교의 사회참여에 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in Korea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50집(2010년 가을호)
-
2010.09149 - 176 (28 pages)
- 61
현재 우리사회 구성원들의 의식에는 이명박 정부와 한국 기독교, 그리고 정치적 보수주의가 동일시되고 있다. 그러면서 기독교의 대사회적 이미지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에 진보적 기독교는 자신의 사회참여를 보다 적극적이고 설득력 있게 수행하면서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반전시킬 필요가 있다. 진보적 기독교가 사회참여를 제대로 해나가려면 우선적으로 지금까지 이뤄진 기독교의 사회참여과정을 검토해야 한다.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개돼온 한국기독교의 사회참여는 크게 네 가지 부문운동들, 곧 노동자・빈민운동, 민주화운동, 통일운동, 시민운동으로 나뉠 수 있다. 과거에는 한국기독교가 이런 운동들을 통해 우리 사회와 경제의 인간적이고 윤리적인 형성에 적지 않게 기여해왔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이런 기독교운동들은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가 이런 한계를 돌파하면서 설득력 있는 사회참여를 전개할 수 있기 위해 수행해야 할 사회경제적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적 민주화의 추구, 대안적 사회경제모델의 구상, 북한경제위기의 시스템적 해결책 모색, 기독교 시민운동의 급진화, 대안교회의 설립이 그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in Korea and to propose its socioeconomic tasks.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ha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socioeconomic sector from 1960s to 1980s. This participation had been developed in four directions, namely, labor & urban poor, pro-democracy, unification, and civic movement. But recently the social engagement of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has been stagnant. As a result, most Koreans identify President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and political conservatism with Korean Christianity. The identification is moving citizens with social consciousness,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farther away from the Christian faith.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ogressive Christianity has to revitalize its social engagement. Specifically, these progressive forces should pursue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create an alternative socioeconomic model, try to find a systematic solution to the economic crisis of North Korea, radicalize the Christian civic movement, and establish a significant number of alternative churches.
1. 들어가는 말
2. 기독교의 사회참여에 대한 검토
3. 경제적 민주화의 추구
4. 대안적 사회경제모델의 구상
5. 북한경제위기의 시스템적 해결책 모색
6. 기독교 시민운동의 급진화
7. 대안교회의 설립
8. 나오는 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