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트라우마와 현상학적 목회상담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henomenological Pastoral Counseling

  • 99

본 논문은 <밀양>영화에서 제시하고자 했던 여러 주제 중에 트라우마에 대한 해결적 접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한 인간의 고통에 대해 기존의 치료적 가설과 의미체계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상학적 접근을 제시한다. 현상학적 접근에서의 트라우마 치료는 갈등과 문제에 놓여 있는 내담자에게 갈등과 문제를 성찰하게 하며 트라우마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이끄는데 있다. 의미의 추구는 목회상담의 중요한 방식이었으며 이것은 현상학적 접근과 만나게 한다. 이것은 상담학과 목회상담의 거대한 방향을 이끌고 있는 환원주의적이고 결정론적인 치료모델에 대해 그들이 갖고 있는 결점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은 목회상담 안에서 영혼 돌봄의 중요한 차원으로 사용되어 왔던 인간의 실존과 그 의미에 대해 치료적인 가치를 일깨워 줄 수 있다. 상담사를 하나의 실존적인 상대자로 이해하는 현상학적 접근은 각자의 영혼이 각자의 실존적 개체성을 소유한다고 인식한다. 모든 인간의 실존은 서로 서로 실존적 의사소통을 하면서 상호주관적으로 엮어져 있다. 따라서 상담사-내담자의 실존적 소통을 통해 트라우마의 문제를 함께 풀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The meaning of suffering in Pastoral Counseling is examined by 3 perspectives: theological,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This study explores the phenomenological view of human nature related to trauma phenomenon and its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herapeutic approach of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 Counseling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ly, this study traces back to the theoretical, theological background of trauma. This study is directed to overcome conventional method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a good potential in using the therapeutic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Pastoral Counseling to traum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