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제결혼 가족을 위한 다문화적 목회상담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Pastoral counseling

  • 30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 우리 사회에는 다른 문화로부터의 이주민이 100만에 육박하게 되었다. 이같은 타문화로부터의 이주민의 증가는 우리 사회만의 현상이 아닌 세계적 현상이며 국제화 시대 속에서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이다. 우리 사회는 농촌의 고질적인 결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주여성을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한국은 다문화 가족이 보편화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단일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라는 신화 속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우리에게 많은 극복해야 할 과제를 제공한다. 우리 사회는 국제결혼 가족이 급증하면서 자연스레 이로 인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기존의 익숙한 문화적 토대 위에서 상담을 진행하게 되면 해결의 가능성은 그만큼 멀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문화 속에서 의미체계와 상징을 공유한다는 기존의 상담의 틀로는 서로 다른 문화적 틀을 소유하고 있는 가족들에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상담이론은 특정한 문화를 배경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특정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그만큼 적합할 수 있으나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 요구 속에서 다문화 가족을 위한 다문화 목회상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차이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는 다문화 목회상담은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이 가까이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한다.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은 다른 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온전히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다문화 목회상담은 상호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낯선 것과 고유한 것 사이의 대결을 극복해 나간다. 이를 통해 상담사는 초공감의 자세를 갖게 되며 낯선 문화를 배경으로 한 국제결혼 가족의 갈등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관계를 맺을 수 있다.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a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has grown in Korea in recent years. Migrant woman who came to Korea after an international marriage have found it difficult to fully integrate into the Korean society. The country’s cultural and ethnic homogeneity, patriarchal gender relations, as well as the commercialized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make the migrant women vulnerable to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also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adjust to life in Korea. In an era of globalization characterized by widespread migration and cultural contacts, pastoral counselors, and othe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ace a unique challenge: how does one practice successfully when working with clients from so many different backgrounds? This paper argue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is of great importance to all practitioners. This volume focuses on the general nature of cultural influences in counseling rather than on counseling specific ethnic group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