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여성과 융의 개성화 이론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神學思想 2007년 봄호(제136집)
- : KCI등재
- 2007.03
- 207 - 231 (25 pages)
오늘날 기독교에서 의미하는 영성이란 말은 기독교인의 삶 전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부분이 통합된 전인적 인간에 관계된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현대인에게 영성 이혜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융의 개성화 이론과 비교를 시도한다. 먼저 오늘날 사람들이 왜 영성에 관심을 갖는지를 분석하고, 그리고 융의 개성화 이론과 기독교 영성을 왜 비교하는 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BR> 기독교 영성의 특징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음을 논하며, 하나님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아포파틱과 카타파틱의 방법을 소개하고, 융의 개성화 이론의 특징인 자아가 자기를 만나는 과정을 논하고, 이 둘 간의 유사성에 대해 비교한다. 이 과정을 통해 기독교 영성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융 심리학의 내용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 한계를 지적한다.
Today "Christian Spirituality" is understood in a wholistic viewpoint, that is, physical, psychological as well as spiritual viewpoi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ristian spirituality with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to get deeper understanding to the former for contemporary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and are influenced strongly by psychology.<BR> In chapter 2, the reason why contemporary people have concern with spirituality is explained. In chapter 3, The reason why we need to compare Christian spirituality and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which shows deep interconnection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persons is suggested.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 of christian spirituality is introduced. Here ways to experience God, kataphatic and apophatic spirituality, is referred, focusing on the latter which is based on an emptying technique of meditation.<BR> In chapter 5, the characteristics of Jung"s theory of individuation is introduced. Individuation refers to the lifelong process of becoming whole through the synthesis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aspects of personality. Jung viewed this individuation as a religious process, describing it as the submission of the ego-will to God"s will.<BR> In last chapter, after showing the similarity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Jung"s psychology, Jung"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to the Christian spirituality are analyzed. One of contributions is Jung"s insight regarding the fact that God is encountered within the core of the self, not somewhere in the farther reaches of the cosmos. However, when evaluated in the light of historic Christianity, the major limitation of Jung"s view of spirituality appears to be his failure to adequately represent God"s transcendence or to provide for our self-transcendence.
초록<BR>1. 서론<BR>2. 영성에 관심을 갖는 배경<BR>3. 상호 비교의 필요성<BR>4. 기독교 영성의 특징<BR>5. 융의 개성화 이론적 특성<BR>6. 상호 비교: 개성화 이론을 통해 본 기독교 영성<BR>7. 결론<BR>참고 문헌<BR>Abstract<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