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J.B. 멕다니엘의 생태신학 연구 - 탈가부장주의와 불교와의 대화를 바탕하여

A Ecological Study on theology of J. B. McDaneil

  • 38

  본 논문은 페미니즘과 과정신학을 토대로 탈가부장적 기독교 생태신학을 수립한 J. B. 멕다니엘의 사상을 소개한다. 한국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의 생태신학은 미국 내 신학교 안에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 그의 주저는『하느님과 필리칸에 대하여(Of God and Pelican)』,『땅, 하늘 그리고 죽게 마련인 것들(Earth, Sky and Mortals)』, 『뿌리와 날개를 가지고(With Roots and Wings)』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저자가 과정사상의 틀하에서 시도한 탈가부장적 세계인식을 소개하였고, 그 빛에서 기독교의 재구성 가능성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그러한 탈가부장적 기독교 속에 내재된 생태학적 영성을 발견하고, 그것이 주는 의미를 말하였다. 그리고 이런 생태학적 영성의 시각에서 기독교의 구원론이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특별히 신론의 재구성 하에서 시도된 기독론과 구원론의 생태학적 해석은 대단히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생태학적으로 재구성된 탈가부장적 신론이 불교의 공(空)사상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살펴보았다. 결국 멕다니엘은 기독교를 생태적으로 재구성함으로 종교 간 대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흥미로운 것은 기독교의 하느님이 인간에게는 인격으로, 펠리칸이란 새에게는 펠리칸적인 새의 방식으로, 그리고 심지어 바위에게는 바위와 같은 존재로서 공감하시는 분이라는 사실이다. 이로써 청지기성을 생태신학의 핵심으로 여기는 개혁신학의 범주를 훌쩍 뛰어 넘는다. 범재신론이 기독교 유신론을 대신하는 패러다임으로 사용되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ost-patriarchal ecological theology of J. B. McDaniel in terms of feminism and process thoughts. His ecological theology is now very popular and sought in American theological seminaries, although it is not familar to Korean theologian. His main works are as follows: "Of God and Pelican", "Earth" sky and Mortals", "With Roots and wings" and so on.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roduce his post-patriarchal world view and to seek a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a new Christian theology. And then, I sought to clarify his ecological spirituality within his post-patriarchally reconstructed theology. Thirdly, I wanted to say, how Christian "Soteriologie" can be reformed in term of his ecological spirituality. Especially, a paradigm change is occurred within the "Gotteslehre" in the name of "Panentheism". Lastly, we can find that his ecologically reconstructed post-patriarchal "Gottesleh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Buddhistic "Sunjata" (空) theory. So J. B. Mc Daniel can have a good basement for the dialogue between two different religious thoughts in focussing on their ecological spiritualities. Above all we can learn from J. B. McDaniel that God acts for humanbeing in the way of human being and also acts for Pelican in the way of Pelican and for rock in the way of rock. I think that it became possible only because traditional Christian theism is replaced here by Panentheism.

초록<BR>들어가는 글<BR>1. 탈가부장적 세계인식과 기독교의 재구성<BR>2. 탈가부장적 기독교 생태영성의 본질<BR>3. 탈가부장적 생태영성에서 본 기독교 구원론-범재신론의 틀 속에서<BR>4. 탈가부장적 기독교 생태영성과 불교적 &quot;空&quot;의 생태영성과의 만남<BR>나가는 글-멕다니엘 생태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BR>참고문헌<BR>Abstract<BR>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