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호세아서의 문학적 신학적 특징
A Study in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Particularities of the Book of Hosea from the Viewpoint of Aristotle's Rhetoric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2005년 가을호(제130집)
- : KCI등재
- 2005.09
- 21 - 49 (29 pages)
호세아서는 신학적 내용뿐만 아니라 구조와 전개라는 차원에서도 매우 특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책이다. 지난 세기와는 달리 근자에 많은 학자들이 호세아서는 여러 다양한 신탁들을 어떤 원칙없이 무질서하게 편집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해 왔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원칙에 의해서, 어떤 동력에 의해서 편집되어졌는지에 관해서는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는 호세아서 편집의 원칙과 동력은 메시지 전달 효과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설교적 구성이라고 본다. 그리고 그 구조적 틀은 중앙집중구조(concentric structure)이며, 반복법과 삼단양식(triadic pattern) 등이 중요한 표현법이며 편집 동력이었다고 본다. 본 소고를 통하여 이 논지들을 증명하고, 호세아서는 여러 말씀들의 무질서한 편집이 아니라 치밀하게 짜여진 설교이며, 호세아서는 한권의 정경이며 단일체요 통일체로서 읽을 때 그 내용을 더욱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설교적 면모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rhetoric, 변론학)을 바탕으로 살펴보며, 위의 논지들을 증명하고자 한다. 호세아서는 매우 함축적이며 강렬한 파토스와 에토스와 로고스를 가지고 있는 말씀이고, 메시지의 효율적 전달을 목적으로 편집된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임을 보여준다. 호세아서는 중앙집중구조의 틀 안에서 삼단양식적 연모와 반복법을 중요 요소로 사용하며, 화자인 "하나님과 설교자와 예언자"가 서로 교호하면서 설교 자체에 변화와 긴장감을 주고 있으며, 내용과 표현법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설교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정경화된 본문 자체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게 하며, 본문이 무엇을 "의미했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역사비평적 이해도 필요하지만, 정경으로 편집되어 전승된 우리의 성경 말씀이 현재의 컨텍스트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도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게 한다.
The book of Hosea has great particularities not only of its theological contents but of its structure and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e past century, nowadays many scholar have pointed out that it is not a random collection of various oracles without any principles of compilation. But they could not provide with any adequate explanations of the ways of compilation. I think that the principle and working force of the compilation of the book of Hosea was the sermonic composition aiming at the maximum effects in addressing messages, especially based on the concentric structure. repetition and triadic pattern. I tried to demonstrate these particularities in this article,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rhetoric of Aristotle. I tried to show the importance of looking at the book holistically, rather than fragmentarily, and the contents of the book as a whole.
초록
서언
1. 호세아서의 전체적 중심 주제(논거의 발견)
2. 호세아서의 전체적 구조(논거배열법과 표현법)
3. 본문의 수사학적 특징과 내용
결어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