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누멘적 경험과 신비경험의 충돌

Conflict Among Numinous and Mystical Experiences

  • 35

종교내부적인 관점에서 개진되는 종교철학은 두 가지의 과제를 갖는다. 하나는 자연주의적인 형이상학의 종교비판에 대해서 ‘종교의 정당성’을 근거 짓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비판적으로 종교들을 비교하면서 ‘참된 종교성’의 척도를 제시하는 일이다. 본 논문은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이라는 문제맥락에서 이 과제가 수행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외견상의 갈등을 빚고 있는 이원적 누멘적 경험과 일원적 신비경험으로부터 ‘공통의 분모’를 연역해 내고 있는 데이비스(C. F. Davis)의 연구결과를 소개하였고, 이어서 종교적 경험에 구성적인 네 가지 의미계기들, 곧 우의적, 역사적, 상승적, 전향적 의미를 밝히고 있는 셰플러(R. Schaeffler)의 ‘종교경험에 대한 해석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고는 ‘초월연관’이라는 종교경험의 공통분모에도 불구하고 ‘역사성’이라는 범주와 ‘경험의 유비’가 종교경험을 해석하는 척도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차이를 통해서 배우기’라는 종교간 대화의 원칙과, 종교의 본질개념에 대한 가능성을 필자의 소견으로 제시하였다.

Within the perspective of religion, the philosophy of religion encounters two challenging tasks. The one is to provide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justification of religion’regarding the criticism from naturalistic metaphysics. And the other is to propose an evaluative criterion for ‘truth of religion’i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which enables critical comparisons among various religions. This article considers whether the philosophy of religion can perform these two tasks in the context of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s’. Firstly, it introduces the research by C.F. Davis’ who deducts the ‘common denominator’ from seemingly conflicting experiences of numinous and mystical. Secondly, it considers the ‘hermeneutics of religious experience’ by Schaeffler, which clarifies four constitutive elements of religious experiences i.e. the allegorical, historical, anagogical, and tropological meanings. With a basis of the aforementioned considerations, this article asserts that ‘historicity’and ‘analogy of experience’shall also be criteria to interpret the reality of religious experience, let alone the common denominator of religious experiences, the ‘transcendence-relation’. Finally, it proposes a principle for the interreligious dialogue, ‘learning through differences and contradiction’ after presenting my opinion on the possibility for an essential concept among various religions.

초록

1. 서론: 종교철학의 두 과제들

2. 누멘적 경험과 신비경험의 현상학: 데이비스의 경험주의적 현상학

3. 종교경험에 대한 보편적 해석학: R. Schaeffler의 철학적 해석학

4. 결론: 종교의 본질개념을 향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