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사회적 외상(Social Trauma) 의 문화적 차원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연구

Cultural Construction of Social Trauma and ‘Yongsan Tragedy' : A Sociological Study of Culture

  • 171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사회적 외상 사건이 사건 자체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문화적 차원에서 구성된다는 것을 문화사회학 이론을 통해 밝히고 이를 2009 년 l 월에 발생한 ‘용산 참사’ 사건을 통하여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산참사는 피해자의 숫자나 사건의 내용을 볼 때 사회적 외상이 될 수 있는 사건이었음도 불구하고 사회적 외상이 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사건이 외상으로 발전하기 위한 문화적 요소들이 - 기호의 구성과 유포, 심리적 동일시, 이항대립의 상정분류체계, 그리고 서사의 역할 등-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문 연구 결과를 통해 사건이 문화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인식하여,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 문화적으로 접근, 해석할 필요성을 깨닫게 되고, 때로 필요하다면 ‘비문화적’ 원기를 수행하여 사건의 인위적, 사회적, 계급적,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담론을 비판하거나 ‘해체’ 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기독교 신앙 혹은 신학이 수행해야 할 사회 비판 및 변혁의 기능과 연결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plore that a social trauma is not caused by an incident itself but culturally constructed and, on the other hand, to interpret ‘ Yongsan tragedy’ from this perspective. Yongsan tragedy was good enough to be a social trauma in terms of its cause and the number of victims, but it failed to be a social trauma. According to Cultural Sociology which is well articulated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by the effort of Jeffrey Alexander and Phillip Smith, the incident was lack of cultural factors such as a formation and diffusion of sign, a rise of psychological identification, a formation of binary opposition and a role of narrative. From this study, it can be asserted that a social trauma is cultural1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needs to, if necessary, be analyzed by Cultural Sociology to get rid of its political, ideological, social, economic affix in the trauma to see the incident as it is. This can be a theoretical methodology for Church' s social criticism and transformation.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상징, 심리적 동일시, 코드 그리고 서사

3. 용산 참사 분석

4. 비극서사로서의 철거민의 삶

5. 기독교적 함의 및 제의

6. 나가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