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신학의 새로운 모색
A New Approach of Covenant Theology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149집(2010년 여름호)
- : KCI등재
- 2010.06
- 65 - 92 (28 pages)
구약학 주제 중에 중심이 되는 연구가 계약신학이었는데, 최근에 구약신학의 중심임에도 불구하고 구약학 연구의 논의에서 벗어나고 있다. 논자는 다시 계약신학을 언급하며 한국의 관점에서 이 계약신학을 새롭게 다루고자 시험적 과제를 제시한다. 그래서 계약신학의 연구사에서부터 시작하여 계약신학의 중요한 주제와 문제, 계약신학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며 한국 신학 안에서 이 계약신학의 자리를 찾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계약신학의 한국적이해를 통해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려고 한다. 이러한 시도가 한국인의 구약신학, 한국인의 관점에 맞는 계약신학, 한국인과의 계약을 맺으시는 하나님에 대한 연구 모색을 한다 이 논문을 통해 구약 성서신학에 있어 계약신학의 새로운 빛을 보는 연구가 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 기독교 개혁의 새 지평을 열리라는 기대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 한국 문화의 계약 구조로서 한민족의 시조 단군과 삼국시대의 시조 동명왕(주몽), 온조, 박혁거세, 발해의 시조 대조영, 삼국을 통일한 고려의 시조 왕건 등을 계약의 지도자로 볼 수 있는지, 한국의 계약 구조의 빛에서 새로운 계약신학의 개념이 오늘날 분단의 문제에 어떤 빛을 줄 수 있는지 생각해 보고자 시도한다. 북한 체제와 남한 체제가 통일을 이루고, 외국인 다문화가정과 디아스포라 한민족 공동체가 하나로 계약 공동체를 이루어 선교한국으로 거듭나는 것이 중요한 새 계약 공동체임을 제안한다. 한국인의 계약신학, 한국과 계약을 맺으시는 하나님에 대한 연구의 시도로서 앞으로 구약신학을 새롭게 연구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며, 다시 계약신학 연구가 활발하게 논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thesis studies Covenant theology according to a new connection with Korean culture. In Old Testament theological studies, Covenant Theology has always been important. The Old Testament Theology of Eichrodt emphasized covenant and became a classical study. Here we attempt to study the research history of Covenant theology, discuss its important themes and problems, and the orientation of “berith" theology. This thesis especially shows new understanding, so this approach is not only meaningful to the Korean view, but also provides a new key in the problem of Old Testament theology Until now, Covenant studies have found new meaning through traditional systematic theological study, and the Ancient Near East treaty. So, the origin and meaning of covenant, treaty and contract, Sinai Covenant and typology of covenant have all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 This study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f Moses’ Sinai Covenant as well as the Davidic covenant by Korean cultural understanding. The Taegeug DO (the Korean flag) which draws a middle line, also shows a picture of the Abraham, and Noah' s Covenant. Also the Northern Israel tradition (Elohim covenant) and the Southern Judah Tradition (Yahwist) are united with the Covenant of Deuteronomy (D), and the Exilic Priestly. Otherwise, the Taegeug three (3) structure is contained in the Davidic, Abraham's, Noah’s, Sinai’s, the Priest’s Covenant, and Jeremiah’s Covenant. Thus, the Korean Taegeug (Oriental Philosophy) is in harmony with the Old Testament Covenant. Finally, this thesis suggests a Korean covenant theology, and studies the Korean Old Testament understanding. In this way, we will find the new meaning of the past Covenant Theology.
1. 들어가는 말
2. 계약신학의 연구사
3. 계약신학의 중요 주제와 방향
4. 계약신학의 새로운 가능성
5.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