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을 통한 생명의 변화 이해

Augustinus’Seminal Reason and Life

  • 33

생명 현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들은 외재적 안정론,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 내재적 자연 역동주의, 외재적 자연 역동주의로 범주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에는 한편으로는 신의 초월성을 전제로 하면서도 자연 속에서의 생명의 역동성을 놓치지 않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생명의 변이와 변화를 생명의 본질로 보며 또한 모든 자연과의 관계를 통하여 생명의 변화는 일어나고 있다는 그의 생명의 이해는 신의 초월성과 배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그의 생명의 씨앗 이론에서 볼 수 있다. 가능태로만 존재하는 생명의 씨앗은 질료를 통하여 현실태로 존재할 수 있게 되는데, 그것은 본질적인 실체의 변화이다. 하지만 이 개체의 변화가 자연의 질서에도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존재자들은 신이 부여한 질서 속에서만 존립이 가능하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우주론 때문이었다. 우주의 질서는 이성적이고 안정적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모든 생명 개체들은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하고 변이한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이다.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은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를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와 동일한 패턴을 보이고 있고 따라서 우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 이해를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Philosophical analysis on life phenomenon can in Western tradition be categorized into external stabilism, internal individual dynamism, internal natural dynamism, and external natural dynamism. Augustinus’theory of rationes seminales implies his attempt to encompass God’s transcendence and dynamics of life in the nature. His rationes seminales presents that it does not make logical fallacy that life’s formational transformation and change belongs to the essence of life and God is transcendental. Rationes seminales in capacity is actualized through matter and it is essential transformation. However it does not bring transformation in the natural order. For Augustinus believed that every being can be in the natural order which God creates. While the order of the cosmos is in Augustinus’rationes seminales rational and stable, every individual being changes and transforms dynamically. This theory runs parallel with Aristotles’ individual dynamism and thus we can name Augustinus’understanding of life internal individual dynamism.

초록

1. 들어가는 글

2. 생명의 변화 이해의 네 범주

3.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