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공공성
Social Location and Publicness of Religions in the Modern Society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神學思想 2008년 가을호(제142집)
-
2008.09195 - 217 (23 pages)
- 243
본 연구는 종교의 공적 역할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에 대하여 논구한다. 그것은 종교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종교비판과 대표적 세속화이론인 사유화이론이 주장하는 종교의 사유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종교가 현대사회에서 성행하며 때로는 공적 영역으로 재등장하여 새로운 사회정치적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BR> 따라서 본 연구는 정교분리원칙을 기본으로 하는 정치사회적 환경에서 종교의 위치와 역할을 재평가하고 그 실체와 한계에 대하여 논한다. 이를 위해 우선 마르크스와 베버를 중심으로 한 고전사회학적 논의를 통해 현대사회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를 재구성한다. 다음으로 사유화이론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실체, 즉 주술화, 상품화 등에 대하여 논한다. 마지막으로 종교의 공적재등장과 공공성의 회복에 대한 분석적이고 규범적인 평가와 함께 공적 종교의 성격에 대하여 논한다.<BR> 결론적으로 근대사회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종교비판과 더불어 사유화이론의 지배적 패러다임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여전히 때로는 사회윤리의 최후의 보루로서, 때로는 사회의 현상(現狀) 유지를 위한 보수적 기제로서 작동하기도 하고, 아니면 정당 등의 정치적 조직을 통해 정권 장악을 노리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중요시 여기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공적 담론의 장인 시민사회로 진입하여 사회적 담론 이슈를 제공하기도 하고 적극 참여하면서 건조한 목적합리성의 하위체계인 관료주의 국가제체와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견제하고 통제하며 재규범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Centered on the public role of religion,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the social location of religions in the modem society. It is due to the fact that, despite of the ideological critique of religion and the theory of privatization of religion, religions of all kinds manage to thrive, and sometimes resurge in the modem world performing new socio-political roles and influence.<BR> Thus, this study reevaluates the location and role of religions in the modem socio-political environment primarily based on the dis-establishment of religion, and figures out their reality. For this, the social location of religions is reconstructed with the discussion of Marx"s and Weber"s theory on religion. Then, by way of reevaluating the theory of privatization, we reveal the reality of religion, especially its tendency to be magicized and commodified. Finally, following the discussion about the historical resurgence of public religions in modem world, we try to characterize them, and reevaluate their social location.<BR> In conclusion, religions still work as the last citadel for the social mores, function for the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and often aim to grasp political power organizing political parties. However, what we think highly important is that in the modem society some religions enter into civil society, a public sphere of discourse, providing some discursive issues. Moreover, they can control and balance the bureaucratic state and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ystems, put them into the normative question, and try the re-normatization of public sphere.
초록<BR>1. 들어가는 말<BR>2. 고전사회학적 시각: 마르크스와 베버를 중심으로<BR>3. 세속화 이론에 대한 재평가: 사유화, 주술화<BR>4. 종교의 공적 재등장과 공공성의 회복<BR>5. 나가는 말<BR>참고 문헌<BR>Abstract<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