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성례전론 - 세례와 성만찬 교리를 중심으로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성례전론

  • 98

&nbsp;&nbsp;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신정통주의 신학자” 칼 바르트 (1886-1968)의 성례전론을 그가 주창하는 “그리스도 중심론" (Christocentrism)의 관점에서 정리-분석하기 위함이다. 특히 교회의 전통적인 관습을 통해 답습된 왜곡된 성례전론에 반론을 제시하며, 유아세례에 강력히 반대했던 바르트의 신학적 논지들을 또한 고찰하기 위함이다. 진실한 신앙고백이 수반되지 않고 수동적 입장에서 행해지는 유아세례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바르트의 신정통주의적 관점들을 정리-분석하면서, 본 논문은 성례전론의 대표적인 본보기로서의 세례교리를 역설하는 바르트의 논제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주님의 기도에 내포된 성례전 신학의 이론; (2) 왜곡된 교회관습으로서의 유아세례; 그리고 (3) 세례예식을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님의 초월적이시며 일깨우시는 능력.<BR>&nbsp;&nbsp;본 논문은 바르트의 대표적인 저서 Church Dogmatics에서 역설된 성만찬 예식의 신학적 의미와 본질을 창조주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 지상에 성육신하시어 온 인류에게 보편적이며 우주적인 영생을 부여하시기 위해 성취하신 “그 하나님의 무조건적이시며 아가페적인 사랑의 극치" (the climax of God’s unconditional agape-love)로 정의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바르트가 주장하는 성례전론의 유일한 중심은 그 아들의 몸을 입고 진정한 인간이 되시어 이 땅에 강립하셨고 지금도 여전히 살아계신 그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적 존재성에 기인함을 강조했다.<BR>&nbsp;&nbsp;그러므로 매 순간 행해지는 성만찬 예식을 통해 참된 기독교인들은 성령님의 초월적이시며 일깨우시는 능력을 통해 동정녀 마리아에게 잉태되시어 성육신하신 그 예수 그리스도의 이 지상에서의 겸손하신 삶과 가르침 그리고 죽음과 부활-재림을 인식하며 진정한 신앙고백과 함께 매일 매일 실천적인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하는 바르트의 “그리스도 중심신학"(the Christcentred theology)사상을 본 논문은 재확인했다.

&nbsp;&nbsp;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arl Barth (1886-1968)&quot;s concept of the sacrament according to his neoorthodox theological principle of Christocentrism.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why Barth strongly rejected the infant baptism, since he regarded it as a distorted custom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traditionally practiced it for the purpose of registering population and ultimately collecting tax from the baptized Christians. At this point, this paper pinpoints that the infant baptism, for Barth, is not necessary anymore in the Christian liturgy. This is because for Barth 8 days old baby is neither psychologically nor spiritually mature enough to confess that the Triune God as the Creator, His Only Son Jesus Christ as the Saviour for all human beings, and the awakening and transcendental power of the Holy Spirit.<BR>&nbsp;&nbsp;Accordingly,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Barth&quot;s theology of the Lord&quot;s Supper in terms of the doctrine of incarnation that had been accomplished through the Triune God&quot;s miraculous work with the transcendental power of the Holy Spirit, but also his definition of God&quot;s incarnated work into His Son Jesus Christ as the climax of His unconditional agape-love. This paper also highlights the humanity of Jesus Christ as the First and the One Sacrament, then the Living Christ as the Centre of sacrament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BR>&nbsp;&nbsp;In conclusion, this paper discusses Barth&quot;s assertion that all the faithful Christians must remind Jesus Christ&quot;s earthly life, His teachings, His bloody death on the Cross, His miraculous resurrection, and His second coming for the final judgment for all sinful human beings in this world whenever they practice the baptism and the Lord&quot;s Supper on every Sunday worship service. Therefore, this paper affirms Barth&quot;s Christ-centred theology.

초록<BR>1. 들어가는 말<BR>2. 성례전론의 대표적인 본보기로서의 세례교리<BR>3. 성만찬예식의 유일한 중심이 되시는 그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인간성<BR>4. 성만찬예식의 중심이 되시는 그 살아계신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진리<BR>5. 맺는 말<BR>참고 문헌<BR>Abstract<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