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예수와 초기 공동체 이적 신앙의 생태신학적 이해 - 공관복음서의 이적사회를 중심으로

  • 72
커버이미지 없음

&nbsp;&nbsp;이 논문은 역사적 예수의 이적운동뿐만 아니라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이적 신앙을 공관복음서의 이적사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런 이적사화의 생태학적인 의미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관복음서의 이적 전승 뒤에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적운동사가 전제되어 있다. "귀신축출"과 "치유이적"은 역사적 예수의 이적운동과 깊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선물이적"과 "구조이적" 그리고 "현현이적"은 초기 공동체의 이적 신앙을 반영한다.<BR>&nbsp;&nbsp;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이적사화는 다음과 같이 4가지 양식으로 구분된다: 1. 인간을 위한 예수의 이적 1(구마이적), 2. 인간을 위한 예수의 이적 2(치유이적), 3. 인간을 위한 예수의 이적 3(소생이적), 4. 자연에 대한 예수의 이적(자연이적). 이런 생태학적인 양식 구분은 예수의 이적운동의 주된 관심이 바로 인간과 자연임을 확인시켜 준다.<BR>&nbsp;&nbsp;생태학적으로 보면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과 코스모스를 위해 오셨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불행과 시련을 해결해주시는 분이시다. 그래서 예수는 결코 인간과 코스모스를 방관하지 않으신다. 오히려 그분은 인간과 코스모스를 불행과 고통으로 몰아넣는 하나님의 적대자를 간파하고 그들과 싸우시는 분이시다. 따라서 예수와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이적 신앙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치 있는 생태운동의 한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

초록<BR>1. 머리말<BR>2. 예수에 관한 전승<BR>3. 이적사화의 해석사<BR>4. 이적사화의 양식사적 분류<BR>5. 예수와 초기 공동체의 이적 신앙에 나타난 생태신학<BR>6. 맺음말<BR>참고문헌<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