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권력과 교회 분열
Religious power and church split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2005년 겨울호(제131집)
- : KCI등재
- 2005.12
- 233 - 255 (23 pages)
이 논문은 한국장로교회의 분열의 근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1953년 기장과 예장으로 분열되어진 한국장로교의 분열에는 신학적 요인보다는 정치적 요인이 더 컸다는 것을 역사적으로 규명하려는 것이다. 식민지에서 해방된 한국장로교회는 민족의 분단상황을 매개로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월남한 기독교인들과 남한의 미군정 체제 하에서 후원받은 한국장로교회의 교권주의자들은 반공·친미적 교회를 형성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미군정 체제 하에서 한국 교회의 종교권력 형성에는 미국 선교사들의 영향이 매우 컸다. 따라서 이들의 개입으로 한국장로교 안에서 세계 교회와 연대를 가지며 한국 교회의 분단을 극복하고 민족주체적인 교회 형성과 교회 개혁을 지향하였던 이들은 좌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것이 성서영감론 논쟁이란 명분 하에 이루어진 1953년 한국장로교의 분열이었다. 결국 민족의 분단은 교회의 분열을 가져오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회의 분열은 민족의 분열을 더욱 극대화 하였다. 이 점에서 한국장로교회는 민족과 역사 앞에 남북 분단의 책임을 공유하며 앞으로 민족통일을 위해 이 땅에 화해와 일치, 평화를 이루는 일을 하나님의 선교적 소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What are the causes of split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is thesis examines the split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1953, focusing on a political factor of religious power(authority). South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faced two great changes. That is, a change in a religious power structure brought about by North Korean Christians defecting to South Korea from religious persecution and foreign missionaries reentering South Korea. Liberalism-related theological controversy centering around the Chosun theological seminary which was run by the South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caused by this religious power struggle. The South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first split by the religious power elites taking the initiative of the South Korean Church under the U.S. military intermediary government and support of missionaries at the 37th General Assembly in 1952. Therefore, reform-minded group"s independent attempts inside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o retrieve the right apostlic church tradition distorted through the harsh dictatorial rule and to aim at solidarity with the world church were frustrated. Church split, when the church tended toward the dominant church authority structure like the secular world, not a world-serving structure, was the natural result. It is true that und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nation,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an exclusive, monopolistic and stratified one aimed at power and authority. Then, how can we overcom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achieve church reformation? As future tasks, we should scrutinize the church authority elites and find ways to realize an equal and horizontal structure of sharing for the church serving the world. For, this is a way to prepare for national reunification through church unification.
초록<BR>1. 들어가는 말<BR>2. 해방 후 한국장로교회의 재건과 주도권 갈등<BR>3. 서북교권의 주체형성과 교회 분열<BR>4. 나가는 말<BR>참고문헌<BR>Abstract<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