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의 우주론에 입각한 유영모의 신학
The Theology of Yoo, Young-Mo based on the Cosmology of Asian Philosophy
- 김진희(Kim Jean-Hee)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신학사상 2005년 겨울호(제131집)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5.12
- 161 - 200 (40 pages)
다석 유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는 신학과 동양사상을 접목시켜 독창적인 신학을 보여준다. 특히 유교의 천(天)에 대한 이해, 불교의 공(空)의 개념, 그리고 도교의 도(道)의 개념은 그의 신학적 해석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며, 동양적 우주관에 대한 이해가 기독교의 신론과 조우하여 하느님에 대한 이해를 동양적 언어로 구사한다. 그는 하느님을 우주적 무 혹은 공의 개념과 근원적 도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해석학의 핵심이 전통 신학의 맥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정신-육체의 이원론이 종말론적 사고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본 논문은 유영모의 동양적 우주관과 전통 신론과의 관계와 전통적 종말론에 따른 인간관을 다루게 될 것이다.
Yoo, Young-Mo shows an unique theology by associating theology with Asian philosophy, especially with the concept of heaven in Confucianism, void in Buddhism and Tao in Taoism, which absolutely affect his theological interpretation. His expression of God is very Asian that it reveals his implication of Asian cosmology in theology. He attempts to signify God in the concept of cosmic nothingness or void and Tao. The interesting point is, however, that his essential interpretation represents traditional theology, which is well-expressed in his mind-body dualism and eschatology.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cosmology and traditional theology and eschatological meaning and method of human life indicated in his argument.
초록<BR>1. 유영모는 누구인가?<BR>2. 유영모의 동양적 우주관<BR>3. 유영모의 인간론<BR>4. 결론:기독교와 동양사상의 접목<BR>참고문헌<BR>Abstract<BR>